한국 법인세 OECD 7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우리나라는 경제 규모에 비해 법인세를 많이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기업의 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기획재정부는 27일 우리나라의 2005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법인세수 비중이 4.1%라고 밝혔다. 2004년보다 0.6%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7위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법인세수 비중은 1985년 1.9%에서 95년 2.4%, 2005년 4.1%로 계속 늘고 있다.

OECD 회원국 중 법인세수 비중이 가장 큰 나라는 노르웨이(11.8%)였다. 뉴질랜드(6.3%)·룩셈부르크(6.0%)·호주(5.9%)·체코(4.5%)·일본(4.3%)은 우리나라보다 법인세 부담이 컸다. 그러나 캐나다(3.5%)·영국(3.4%)·미국(3.1%)·프랑스(2.8%)·헝가리(2.1%)를 비롯한 23개국은 우리보다 법인세 비중이 낮았다. OECD 평균은 우리보다 낮은 3.7%다.

우리나라의 법인세 최고세율은 25%로 OECD 평균인 24.4%보다 높다. 한국의 법인세율이 OECD 평균보다 높아진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영국·독일·스페인 같은 유럽 국가들이 올해부터 세율을 낮췄기 때문이다. OECD 회원국 평균 법인세율은 2001년 30.2%에서 매년 1%포인트 정도 낮아졌다.

반면 우리나라의 법인세율은 2002년 28%에서 27%로 인하됐고, 2005년부터 25%를 유지하고 있다. 경쟁국인 싱가포르(18%)·홍콩(16.5%)보다 훨씬 높다. 대만은 25%인 세율을 2010년까지 17.5%로 낮출 계획이다.

이에 따라 우리도 내년부터 법인세율을 3%포인트 인하해 22%로 낮추고, 2013년까지 20%로 낮출 계획이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