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ave Earth Save Us] 지구는 거대한 보일러 … 지열로 온실 난방해 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24일 진주시 사봉면 무촌리 (주)프랜토피아의 ‘지열 이용 온실’에서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농촌지도사 40여 명이 난방 원리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온실 천장에는 지열을 내뿜는 방열판이 매달려 있다. [사진=송봉근 기자]

경남 진주시 사봉면 무촌리에는 평범하게 보이는 비닐하우스 온실 한 채가 서 있다. 24일 오전 온실(면적 991㎡) 안의 온도계는 섭씨 28도를 가리켰고, 관엽식물인 스파티 필름과 마리안느가 싱싱하게 자라고 있다.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소속 농촌지도사 40여 명은 신기한 듯 온실 구석구석을 살폈다. 기름 한 방울 사용하지 않고 지열(地熱)을 이용해 난방하는 온실이기 때문이다.

충남농업기술원 최정규 작물지원과장은 “비닐하우스나 유리 온실 등을 이용해 계절에 상관없이 재배하는 시설원예 농업 분야에서 치솟는 기름값에 대처할 수 있는 대안을 찾기 위해 왔다”고 말했다.

이 온실에서는 17일 전국의 농업 관련 공무원과 농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에너지 절약 기술 보급을 위한 현장 토론회가 열렸다. 지난달에 견학 온 네덜란드의 유리 온실 업체 관계자가 “유리 온실은 네덜란드가 앞서 있지만 지열 이용 기술은 한국에서 배워야겠다”고 평가했다.

이 온실은 지난해 11월 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소가 농가 보급에 앞서 식물조직 배양회사인 ㈜ 프랜토피아 농장에 시범 설치한 것이다. 발명특허도 받았다. 주택·상가에 활용하는 지열 이용 난방 시스템은 땅속 150∼500m까지 지열 흡수기를 집어 넣는 수직형이다. 새로 개발된 온실용은 지하 3m에 지열 흡수 파이프를 넓게 까는 수평형이다. 설치비도 수직형은 9000여만원(991㎡ 기준)이지만 온실용 수평형은 절반 수준이다.

◇우리 기술로 개발한 농촌형=이 온실 지하 3m 밑에는 지름 30㎜의 지열 흡수 파이프가 꼬불꼬불하게 6㎞쯤 깔려 있다. 이 파이프로 물이 돌면 지열을 흡수해 섭씨 7∼10도로 데워진다. 이렇게 데워진 물은 지열 교환기로 흘러, 온실에서 나온 찬물을 열교환 방식으로 데운 뒤 땅속으로 돌아간다. 온실에서 나온 물은 온실 난방을 하느라 식어 있다. 이 식은 물은 지열 교환기에서 땅속에서 온 물을 만나 1차로 데워진 뒤 히트펌퍼로 가 섭씨 40도까지 가열된다. 이 물이 열기를 모으는 축열조를 거쳐 온실에 난방을 하는 방식이다. 지열 난방 온실 바로 옆에는 난방비를 비교하기 위해 같은 크기의 경유 난방 온실이 붙어 있다. 지난 겨울철(11∼2월) 난방비를 비교한 결과 매달 경유 5000L씩 4개월 동안 2만L를 사용해 기름값만 1800여만원(면세유 기준)이 들었다. 하지만 지열 온실은 기름 한 방울 사용하지 않는 대신 히트펌퍼 전기료로 한 달에 50만원, 모두 200여만원쯤 들었다.

◇4년이면 설치비 회수=지열 난방 온실 설치비(991㎡기준)는 4500만원. 겨울철 4개월 동안 기름 난방을 할 경우의 기름값 1800만원에서 전기료 200만원을 뺀 기름값 절약액은 1600여만원. 3∼4년이면 설치비를 건질 수 있다는 계산이다.

연구 참여기업인 ㈜TEN 김태원(42) 대표는 “지열 온실 보급이 늘면 면세유도 절감돼 세수가 늘게 되는 효과가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현재 시설원예 면적은 5만1912㏊. 이 중 난방을 하는 시설원예 면적은 약 24%인 1만2537㏊쯤 된다. 농업용 면세유(L당 915원 선) 공급량도 248만KL(공급액 1조5651억원)에 달했다. 김 대표는 “248만KL의 면세유를 공급하려면 면세액은 1조3119억원쯤 된다”며 “지열 온실을 10%만 보급해도 1311억원의 세수를 늘릴 수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농촌진흥청의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시설원예 농가의 경영비 가운데 유류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35∼58%에 이른다. 네덜란드·일본 등 시설원예 선진국의 유류비 비중은 10∼20%밖에 되지 않는다. 이런 구조로는 국제유가가 계속 오른다면 국내 시설원예 농가들의 어려움은 계속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농촌진흥청 농업공학연구소 유영선(45) 박사는 “시설원예 농가들의 유류비 비중을 낮추기 위해서는 지열 이용 온실 보급을 늘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글=김상진 기자, 사진=송봉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