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속, 행동통일 하세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침묵 모드’의 박근혜(얼굴) 한나라당 전 대표가 조용히 움직이고 있다. 그를 움직이게 하는 건 공천에서 탈락했다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친박 인사들의 복당 문제다. 박 전 대표는 친박연대와 친박 무소속에 대해 예외 없는 복당을 주장한 바 있다. 당에서 일부 무소속만 선별적으로 입당시키려 하는 것에 대해선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런 그가 최근 친박연대 비례대표 양정례씨 문제로 동요 조짐이 일고 있는 일부 무소속 당선인들에게 ‘행동통일’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측근 인사는 18일 “박 전 대표가 양씨 문제가 불거지자 술렁이는 몇몇 인사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개별 행동을 하지 말라고 주문한 것으로 안다”며 “박 전 대표는 당에서 이들을 일괄적으로 복당시켜 주지 않는다면 친박연대와 무소속들이 교섭단체를 구성해 뭉쳐 있다가 한꺼번에 들어오길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당내에서도 탈당 의원들의 복당 논의가 공론화되고 있다. 최근 여의도연구소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경우 복당에 대한 찬반이 40%대로 비슷했지만 당원의 경우 복당을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20%포인트 가량 높았다고 한다.

여의도연구소장인 친박 성향 서병수 의원은 이날 당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친박연대당과 무소속 친박연대에 소속된 당선인들은 당연히 한나라당으로 복당해야 한다. 이번 총선에서 표출된 국민의 준엄한 명령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필요하다면 당대당 통합까지 검토해야 한다.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우선 무소속 당선인과 원하는 사람에게라도 한나라당 문호를 개방해야 한다”고도 했다.

당내 중도 성향 의원들 내에서도 복당을 허용해야 한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나경원 의원은 “한나라당 공천 과정에 다소 문제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친박연대야 당이니까 좀 다른 문제이지만 무소속 당선자들은 받아들여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인수위 부위원장을 지낸 김형오 의원도 이미 이들의 복당을 주장한 바 있다.

한편 박 전 대표는 7월 전당대회 출마와 관련, 측근들에게 “조만간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주변에선 출마 찬성과 반대론이 엇갈리고 있지만 박 전 대표는 최근 불출마 쪽으로 마음이 기울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가영 기자

[J-HOT]

▶ "한국기관 폭파" MB 맞는 일본 경호 초비상

▶ MB 10년전 핫도그의 추억 다시 떠올린 까닭

▶ 토박이론 앞세워 '박근혜 바람' 이긴 무소속

▶ MB 카트 직접 운전하자 부시 엄지 치켜들고 탄성

▶ MB 고려때 활 '각궁' 부시는 MB 새긴 가죽점퍼 선물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