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 중국산 먹거리 안전성 철저히 챙겨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일본의 농약 만두 파문이 중국 측 책임으로 굳어지고 있다. 일본 경찰이 문제의 만두에서 중국에서만 사용되는 농약 성분을 검출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선 혈액 응고 방지제를 복용한 4명이 사망했다. 이 혈액 응고 방지제의 원료는 중국의 무허가 공장에서 만든 것으로 밝혀졌다. 파나마 정부도 중국산 감기약을 복용한 115명이 사망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문제의 감기약에는 부동액에 쓰이는 독극물이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제 중국산 불량 제품의 안전지대는 없다. 미국 올림픽위원회는 베이징 올림픽 때 선수들의 먹거리를 직접 공수해 가기로 했다. 중국 현지에 유통되는 닭고기에서 올림픽 금지 물질인 스테로이드 성분이 과다하게 검출됐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중국의 식품·약품 안전을 책임진 최고위 관리가 뇌물 수수로 사형을 선고받았다. 온 세계가 중국산 유해 제품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최근에는 ‘차이나 프라블럼(China problem)’이나 ‘차이나 프리(China free)’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다. 전자가 ‘믿을 수 없는 중국 상품’을 뜻한다면, 후자는 아예 중국산 제품을 취급하지 않는 가게를 가리킨다.

중국산 유해 먹거리로 치면 한국만큼 신경을 곤두세워야 할 나라도 없다. 우리는 매년 4조원어치 이상의 중국산 먹거리를 수입한다. 중국산 유해 식품의 피해도 꼬리를 물고 있다. 기생충 알이 든 김치, 말라카이트 성분이 든 생선, 이산화황으로 표백한 찐쌀 등 한 손으로 꼽기 힘들 정도다. 그러나 값싼 중국산 먹거리가 없으면 더 이상 식탁을 차릴 수 없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저소득층일수록 중국산 먹거리 섭취 비중이 높다.

중국산 먹거리와 담을 쌓을 수 없다면 우리 스스로 중국산 식품 안전을 챙겨야 한다. 먹거리는 국민의 생명이 걸린 문제다. 서민 보호를 위해서도 중국산 유해 식품 검역을 강화해야 한다. 최근 전 세계가 중국 당국에 식품·약품의 안전을 확보하라고 전방위로 압박하고 있다. 우리도 필요한 경우 이런 흐름에 적극 동참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