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천심사위 구성 전격 합의 친이 4 : 친박 2 : 중립 5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분당(分黨) 가능성까지 나오며 진통을 거듭하던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공심위) 인선이 24일 가까스로 마무리됐다. 한나라당은 이날 오후 총선기획단과 긴급 최고위원회를 잇따라 열어 안강민 전 서울지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11명의 공심위 명단을 최종 확정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공정 공천’ 원칙에 합의한 지 하루 만이다. 특히 박 전 대표 측이 자파 인사를 추가해 달라는 요구를 철회하면서 원안대로 합의됐다.

 박 전 대표는 이날 오전 강재섭 대표와 통화한 뒤 “당에서 책임지고 공정하게 공천하겠다는 말씀을 믿는다”고 주변 인사들에게 말했다고 한다. 전날 이 당선인이 “수용할 수 있는 건 수용해 주라”고 말한 데 이어 박 전 대표도 ‘통 큰 양보’를 지시한 셈이다.
 공심위 명단이 강재섭 대표와 이방호 사무총장이 만든 원안대로 확정되면서 공심위원 중 친이(親 이명박)-친박(親 박근혜)-중립 인사의 비율은 ‘4대 2대 5’로 추려졌다. 이 총장과 임해규·김애실 의원, 강혜련 교수 등은 친이 계열, 강창희 인재영입위원장과 강정혜 교수 등이 친박 계열로 각각 분류된다. 나머지 인사들은 중립 인사로 꼽힌다. 양측은 대신 ‘친이’ 정종복 제1부총장과 ‘친박’ 송광호 제2부총장을 각각 간사로 임명해 공심위 회의에 참석하도록 했다.

 이날 당 안팎에선 박 전 대표의 전격 수용 방침에 대해 “전날 당선인과의 회동에서 모종의 약속을 받은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박 전 대표 측 김무성 최고위원은 “자리 하나 더 받는 거보다 서로 약속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에서 원안대로 합의한 것”이라고 일축했다. 박 전 대표도 측근을 통해 “어제 당선인을 만났을 때 당연하게 공정한 공천이 돼야 한다는 확고한 의지 표명을 하셔서 공심위 원안을 수용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해 이면합의설을 부인했다.

 정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