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정치,고작 이런 수준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내분(內紛)뒷수습에 나서고 있는 요즘 민자.민주당의 움직임을보면 솔직하지 않게 보이거나 다소 어이없게 느껴지는 대목들이 눈에 띈다.
민자당은 대표직을 사퇴한 김종필(金鍾泌)씨에 대해 이제 와서당잔류를 설득하고,대표사퇴를 「안타깝게」생각한다는 말을 하고 있다.당에 남아 있으면 고문이나 상담역등 「적절한 예우」를 할뜻이 있음도 내 비친다.민자당은 바로 며칠전까 지 金씨에 대해사퇴를 종용하고 그에 반발한 金씨의 집권측 비판에 대해 해당(害黨)행위라고 몰아붙였다.그런 민자당이 막상 그가 사퇴한 후에는 안타깝다거나 머물러달라고 말하는 것은 진심인가,예의상 해보는 수사(修辭)인가.민자당이 金씨 를 퇴진시킨 표면상 논리는 그가 세계화에 맞지 않다는 것이었는데 그렇다면 대표로서는 세계화에 안맞지만 고문으로서는 세계화에 잘 맞는다는 뜻인가.
정치가 막후에서는 얼마든지 술수나 흥정이 있을 수 있지만 밖으로 국민을 향해 말할 때는 어디까지나 당당하고 명분이 서야 한다.그렇게 金씨를 몰아붙이던 민자당이 이제 와서 잔류를 요청하는 겉모습은 믿음성도 안가지만 이중적이라는 느낌 을 가지지 않을 수 없게 하는 것이다.민자당은 좀더 솔직하고 당당해질 필요가 있다.
민주당이 당대표를 총재로,최고위원을 부총재로 명칭을 바꾸기로했다는 얘기도 뭔가 좀 엉뚱하다는 느낌을 준다.이기택(李基澤)대표의 권한과 위상을 강화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제에 각파가 합의했지만 명칭을 대표에서 총재로 바꾼다고 李대표가 더 강해지는 것일까.물론 총재라는 이름은 더 권위가 있고 중앙집권적이라는 인상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정당에서의 힘은 이른바 지분(持分)으로 불리는 자기세력과 자신의 능력에 달려있다.그런 실질적 뒷받침은 없이 직책명칭만 더 거룩하게 한다고 힘이 더 생긴다고 생각하면 착각일 것이다.
우리가 민자.민주당에 대해 굳이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은 정치개혁에 대한 국민여망이 드높은 이때 양당이 너무 작고 유치한 정치만 하는 것 같은 안타까움 때문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