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주택 10만가구 돌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5면

전국 미분양 주택수가 사상 최초로 10만가구를 넘어섰다.
특히 행정력이 미치지 않아 조사가 안된 다가구.다세대.소규모연립주택등의 물량까지 감안하면 전국의 미분양 물량은 15만~16만가구로 추산된다.
19일 건설부와 서울시에 따르면 11월말 현재 전국에서 공사중이거나 또는 준공후에도 집이 안팔려 비어있는 주택수는 10월보다 9천2백2가구가 늘어난 총 10만2천5백18가구로 집계됐다. 이중 서울.경기.인천등 수도권의 경우 미분양 주택이 1만5천4백26가구에 불과한데 반해,부산.대구.광주등 대도시를 포함한 지방은 무려 8만7천92가구에 달해 수도권과 지방간 주택경기 양극화현상이 심한 상태다.
건물이 다 준공된 뒤에도 집이 안팔려 곧바로 입주가 가능한 주택도 지방의 경우 2천7백5가구에 달하는 반면 수도권은 서울만 8백23가구가 남아있고,경기.인천은 분양 당시 다 팔리지 않았더라도 공사중 꾸준히 분양돼 현재 입주 가능한 미분양주택은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준공후 미분양 주택도 일부 고급빌라만 빈집으로 남아있는 실정이어서 앞으로 수도권의 수요충족을 위한 신도시건설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와함께 주택업체들은 분양가 자율화 추진과 관련,미분양 주택이 적체돼 있는 지방부터 자율화 정책을 시행해 정부의 가격통제로 인한 부실시공등 품질저하 현상을 막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대한주택건설사업협회 허진석(許眞碩)회장은 『미분양 주택이 쌓여있는 이때 분양가 자율화를 실시하지 못하면 영원히 시행기회를 잃게 될 것』이라며 『분양가 자율화 없이는 1백년이상 견디는 건실한 주택건설은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고 말 했다.
그동안 서울시는 미분양 주택현황을 조사하지 않았으나 지난 10월부터 산하 각 구청을 통해 조사한 결과 10월 2천6백60가구,11월 3천8백26가구가 미분양된 것으로 나타났고 11월말 현재 준공된후에도 팔리지 않은 주택은 8백23 가구 규모다. 서울시의 조사물량을 포함한 각 부문별 미분양 주택은 민간부문이 8만4천7백61가구로 전월(前月)보다 9천5백33가구가 늘어난 반면 공공부문은 도리어 3백31가구 줄어든 1만7천7백57가구로 나타났다.
전국 15개 시.도 가운데 안팔린 주택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남으로 10월보다 1천15가구가 많은 1만5천6백62가구로 집계됐고 그다음은▲부산 1만3천5백42가구▲전남 1만1천8백78가구순이다.
시.군.구별 미분양 주택 적체량이 많은 지역은▲부산 해운대구5천9백61가구▲천안 4천8백56가구▲목포 4천4백14가구▲온양 2천6백50가구▲청주 2천6백21가구등으로 미분양 주택이 1천가구 이상인 지역만도 30곳에 달한다.
이들 지역의 미분양 물량이 많은 것은 최근 아파트 분양이 대거 시행돼 공급과잉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崔永振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