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후보 언론정책 물어보니 6명 모두 "집권하면 기자실 복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12월 대선에 출마하려는 주요 후보 6명 전원이 노무현 정부의 기자실 통폐합 조치(취재지원 선진화 방안)를 비판하고 집권 시 통폐합 조치를 대폭 수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명박 한나라당, 이회창 무소속,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문국현 창조한국당, 권영길 민주노동당, 이인제 민주당 후보는 15일 중앙일보가 실시한 '대선 후보의 언론관 설문조사'에 응하고 주요 언론 현안에 대해 입장을 공개했다.

다음은 후보 6명이 "노무현 정부의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또 집권하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변한 내용이다.

▶이명박 후보=언론정책은 언론의 자유보장이라는 대원칙에 따라야 한다는 것이 확고한 신념이다. 국민의 알 권리를 신장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기자실 폐쇄, 기자의 정부청사 출입증 무효화 등의 강행은 권위주의적 정부하에서나 가능했던 시대착오적인 조치이며 집권하면 (현 정부 정책을) 원점에서 검토할 것이다.

▶이회창 후보=군사독재 시대에도 볼 수 없었던 지독한 언론탄압이다. 정부가 가지고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취재하는 자유를 원천봉쇄하는 조치는 중단되어야 마땅하다. 집권하면 이른 시일 안에 원만한 언론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정동영 후보=취지에는 공감하나 지금 같은 방식의 실행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언론계와 시민단체, 정부 간 3자 합의를 통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 취재의 자유가 보장돼야 관료사회가 동맥경화에 걸리지 않는다.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하도록 접근권을 확실히 열겠다.

▶문국현 후보=취지는 기본적으로 동의하나 추진 방법이나 절차에 다소 무리가 있었다.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도를 보완할 것이다. 정보공개법을 개정해 취재 편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

▶권영길 후보=기자실 통폐합 정책은 대통령 한마디에 군사작전처럼 결정.공표한, 시작부터 잘못된 조치다. 기자 사회의 잘못된 관행과 혁신 과제는 기자들 스스로 자정과 혁신으로 충분히 개선해 나갈 수 있다고 믿으며, 오히려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알 권리 확대를 위한 정보공개 수준 확대다.

▶이인제 후보=선진화 명목으로 사실상 대정부 언론취재활동을 제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집권하면 기자실 통폐합을 취소하고 원래의 기자실을 복원하겠다.

김정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