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광주지역 무인경비시스템 업체간 수주 경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光州=千昌煥기자]전남.광주지역의 무인경비시스템 시장이 후끈달아 오르고 있다.
예산절감등을 이유로 기계경비를 채택하고 있는 상가등이 꾸준히늘고 있는데다 정부의 읍.면.동사무소 일.숙직제 폐지방침에 따라 당장 7월부터 방범시설 설비를 추진중인 일선 읍.면.동사무소만 광주.전남지역에서 4백여개가 넘어 업체간 수주 경쟁이 가열되고 있는 것.
특히 방범시설.용역업체들은 관공서 시설에 따른 대외 공신력을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업체마다 장비.인력보강과 더불어 자사 홍보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현재 영업중인 무인경비시스템 설비.용역업체는 한국안전시스템(주).한국보안공사(주).법아종합경비(주)등 3개의 전국 규모 업체와 한국보안안전(주).대도실업등 지역업체를 포함해 모두 8곳. 무인경비스시템 가입자는 처음에는 금융기관이 주 대상이었으나 차츰 금은방.옷가게.단란주점등 상가에 거의 보편화돼가고 있는 추세며 개인주택도 상당수 이들 업체에 경비용역을 맡기고 있다. 89년이후 가입자가 급속히 늘어 현재 광주.전남에만 9천여곳이며 올들어서만 1천여곳 이상이 새로 가입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내다보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최근 4년간 매년 40%이상의 성장률을 보였으며 올들어서도 업체마다 3백~6백곳의 신규 가입자 유치 목표를두고 있다.
95개의 동사무소.출장소를 두고 있는 광주시의 경우 4개 구청별로 업체들의 견적서가 줄을 잇고 있으며 일부 시설에 대해서는 과당경쟁에 따른 부실우려마저 일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달부터 각 구청별로 2개동씩 무인경비시스템을 시범운영해오고 있으나 설치비가 동사무소당 35만~80만원까지 업체마다 크게 차이가 나는데다 월 용역비도 10만~15만원으로 각각 달라 업체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개경쟁 입찰을 할 경우 덤핑 낙찰에 의한 부실시공 우려가 있는데다 특정업체를 지정해 계약할 경우 특혜시비가 일 것으로 보여 업체 선정마저 미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업계의 한 관계자는『무인경비 시설을 채택하려는 학교.정부투자기관등이 많아 시장 전망은 앞으로 2~3년간 매우 밝은편』이라며『관공서 수주를 발판으로 시장을 확대하려는 업체들의 영업전략과 맞물려 관공서 수주전이 과열되고 있 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