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도 핵이 북핵 걸림돌 아닌가" "일본, 다른 공동체에 관심 있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오노 슌(일본 규슈대 교수)=동북아 공동체에 어떤 국가들이 참여할 수 있을까. 한.중.일 외에 러시아.몽골 등을 생각하면 역사적.문화적 배경이 많이 다르다. 호주.뉴질랜드의 참여 여부도 논란거리다.

▶후나바시 요이치(일본 아사히신문 주필)=일본.호주.인도.미국의 4자 회담이 아직 본격 궤도에 접어들지 않았지만 이를 제도화할 경우 중국을 너무 위협하게 될 것이다. 또 미국의 역할이 중요하긴 하지만 동북아 공동체에 미국이 꼭 참여해야 한다는 얘기는 아니다. 초청 국가는 인도.호주.뉴질랜드면 충분하다.

▶안충영(중앙대 석좌 교수)=외환보유액.무역 규모 등으로 볼 때 중국이 어떤 형태로든 이 지역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중국이 지적재산권 문제 등에서 글로벌 기준을 충족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리처드 로이드 패리(영국 더타임스 아시아 담당)=유럽연합(EU) 회원국들은 인권이나 민주주의 성취 등에서 일정한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인권이나 민주주의 면에서 중국이 한국이나 일본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공동체 형성에 어떤 영향을 줄지 궁금하다.

▶우젠민(중국 외교학원 원장)=중국은 6자회담에 참여하고 아프리카와 남미의 개발도상국들을 지원하는 등 국제사회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제 몫을 다할 것이다. 민주주의는 지역마다 사정이 다르고 계속 진화하는 것이다. 중국은 나름의 속도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다나카 아키히코(도쿄대 교수)=공동체 건설엔 두 가지 방식이 있다. EU처럼 각국이 특별한 기준을 만들어 회원국의 자격을 정하는 게 첫 번째다. 다음은 역사적.지리적으로 밀접한 국가들이 일종의 '마을'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 블록 안에는 부잣집도 있고 가난한 집도 있겠지만 각자의 차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동아시아에선 두 번째 방식이 자연스럽지 않을까 한다.

▶사이발 다스굽타(인도 타임스 베이징 지국장)=인도의 핵문제가 북한 비핵화의 걸림돌이란 지적이 있는데.

▶문정인(연세대 교수)=북한은 미국이 인도.파키스탄과 북한에 대해 이중 잣대를 적용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 논리가 타당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김영희(중앙일보 대기자)=일본은 동북아 공동체보다 좀 더 포괄적인 공동체 형성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인해(고려대 교수)=한국만큼 중국과 일본에서도 동북아 공동체를 중요시하는지 알고 싶다. 양자 동맹에 기초한 공동체냐, 탈(脫)양자동맹에 기반한 공동체가 되느냐에 따라 현실화 가능성이 달라지지 않을까 싶다.

▶다나카=일본에 한 가지 목소리만 있는 건 아니다. '아세안+3', 동북아 3국에 호주.인도.뉴질랜드를 더하자는 안, 한.중.일 3국만 하자는 안 등 다양하다. 하지만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3국으로 국한하는 건 너무 좁다는 생각이다.

신예리.최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