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정동영 예측불허 1위 싸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예비후보들이 4일 전주시 중화산동 전북도당 현판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왼쪽부터 신기남·추미애·김두관·천정배·유시민 후보. 이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손학규 후보는 서울에서 한 방송사와 인터뷰를 했고, 정동영 후보는 인천에서 열린 국민참여운동본부 발대식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 경선에서 뛸 5명은 누구인가. 9명 중 4명을 탈락시키는 컷오프(예비경선) 결과가 5일 오후 공식 발표된다. 신당은 4일 오후 늦게 선거인단.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끝냈다.

컷오프 결과는 탈락자 선정뿐만 아니라 각 후보의 득표력이 드러난다는 측면에서 관심이 쏠린다. 이달 중순 시작될 범여권의 본 경선에도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여론조사기관인 리서치앤리서치와 동서리서치는 일반 국민 2400명에게 무작위로 전화를 걸어 9명의 후보자 중 지지 후보 2명을 선택하도록 했다. 중앙리서치도 미리 선정된 선거인단 1만 명에게 전화를 걸어 같은 질문을 했다. 첫 번째 전화 조사에서 선거인이 응답하지 않으면 두 차례 더 전화를 걸었다. 그러나 4일 오후 늦게까지 진행된 전화조사에서 세 차례나 응답하지 않은 선거인들이 적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신당의 한 관계자는 "지지 후보 2명을 밝힌 사람이 5000명 안팎으로 전체의 절반에 불과했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선거인단보다 일반 국민의 여론조사 결과가 더 큰 변수가 됐다. 선거인단과 일반국민 여론조사의 반영 비율은 50 대 50이다. 신당 경선위는 이날 여론조사기관들로부터 밀봉된 조사결과 자료를 넘겨받아 당사에 마련된 금고에 보관했다.

그러나 각 후보 진영의 참관인들이 조사 작업을 지켜봤기 때문인지 이날 낮부터 "OOO 후보가 1위를 했다" "OOO 후보가 친노 후보 중 선두를 차지했다"는 등 온갖 소문이 난무했다. 각 후보 진영은 이날 늦게까지 여론조사가 진행되는 점을 감안해 저마다 "승리를 확신한다"며 고도의 심리전을 펼쳤다.

손학규 후보 측 정봉주 의원은 "일반국민 여론조사에서 정동영 후보를 크게 앞서서 1위로 통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정동영 후보 측 정기남 공보실장은 "근소한 차로 우리가 역전승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선위 관계자는 "1순위 지지 후보에선 손 후보가, 2순위 지지 후보에선 정 후보가 수위를 달려 승부 예측이 불가능한 박빙의 상황"이라고 전했다.

한때 의원(이해찬)-보좌관(유시민) 관계였던 이.유 후보 진영 간 신경전도 치열하다.

유 후보 측은 "3등을 자신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후보 측 역시 "2위와 큰 차이 없는 3위를 기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명숙 후보 측은 "컷오프 통과가 무난하다"고 말했다. 추미애 후보 측은 "대통합의 전도사가 본선에 진출해야 한다는 호소가 먹혀들었다"며 기대감을 표시했다. 신당 경선위는 경선 후유증을 우려해 5명의 본선 진출자만 발표하고 득표 순위는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후보들은 컷오프 마지막 날에도 날카롭게 대립했다. 손 후보 측 우상호 대변인은 정 후보 측이 손 후보를 '손님'이라고 지칭한 데 대해 "손 후보는 대통합 신당의 손님이 아니고 창당 주역"이라며 "신당을 아직 열린우리당이라고 착각하는 모양"이라고 공격했다. 정 후보 측 김현미 대변인은 "민주평화개혁세력의 주인이 되고자 한다면 과거의 철학과 의식.노선부터 바꾸어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한편 범여권 후보로 분류되는 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사장은 4일 "기존 정당이 워낙 부실하고 국민적 지지를 못 받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시점에 신당을 만들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통합민주신당 경선에 참여할 뜻이 없음을 드러낸 것이다.

김정욱 기자

◆본경선=9월 15일부터 10월 14일까지 전국을 도는 순회 투표 방식으로 치러진다. 투표 참가 희망자는 누구나 선거인단으로 선정돼 표를 행사할 수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형식이다. 지역마다 선거인단 투표 뒤 개표 결과가 공개돼 득표 성적이 계속 경신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10월 14일 서울에서 최종 후보가 가려지고, 15일 후보자 지명대회를 치를 예정이다. 본경선 룰은 아직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각 후보들은 여론조사 도입, 모바일.인터넷 투표 도입 등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