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니·괌등 아시아 전지역/일본군 위안소 설치 기록 발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일 국회도서관서
【동경=이석구특파원】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소가 아시아 전지역에 있었다는 등 군위안부에 관한 기록다수가 일본 국회도서관에서 발견됐다.
일본정부는 지난 8월 군위안부에 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으나 국회도서관 기록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어 일본정부 조사가 무성의하게 이뤄졌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게 됐다.
이같은 사실은 일본 사회당 소속 시미즈 스미코(청수징자) 참의원 의원이 민간연구단체 「일본의 전쟁책임자료센터」의 협력을 얻어 지난 10월부터 일본 국회도서관장서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밝혀졌다.
이 센터의 요시미 요시아키(길견의명) 중앙대 교수 등은 국회장서에서 전 일본군인의 체험기,부대사 등 약 1만점의 관련자료를 찾아내 자세한 내용조사에 들어갔다.
요시미 교수에 따르면 군위안소가 중국에 47개소,버마에 20개소,인도네시아에 16개소,파푸아뉴기니에 9개소 등 아시아 전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는 일본정부 조사결가 발표때 포함되지 않았던 인도 니코바르제도·보르네오·괌 등에도 위안소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과 버마의 경우도 정부조사때 밝혀지지 않았던 지역에 위안소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정부 조사발표때 고노 요헤이(하야양평) 당시 관방장관은 『위안부 모집주체가 군의 요청을 받은 민간업자』라고 밝혔으나 전 해군대좌가 쓴 『제국해군 성풍속소전』 등 다수자료는 군이 직접 징집에 나섰다고 기술하고 있다.
일본의 전쟁책임자료센터는 전국 도서관에 있는 이같은 자료발견을 계속,아시아 각 지역의 위안소 소재를 밝히는 위안소 지도를 만들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