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환규제」에 꽃농가 반발/“값 폭락… 주문마저 반으로”/화훼협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생존권 차원서 가두시위도 불사
보사부와 민자당이 15일 경조사때 화환을 규제하는 방향으로 가정의례법을 개정키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꽃수요가 폭락,꽃재배농가와 도소매업자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꽃업계 관계자들은 86년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꽃육성방침을 적극적으로 펴기 시작한 정부가 우루과이라운드 대비책으로 90년부터 제주·마산·서산 등에 대규모 꽃단지를 조성했음을 들어 정부의 화환규제 조치가 정권교체기나 변혁기에 주기적으로 등장하는 근시안적인 정책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한국화훼협회(회장 김용성)는 정부가 이같은 정책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국무총리·관계장관 등에 항의서한 발송 ▲헌법재판소에 위헌심사 제청 ▲화훼인 1만인 참가 가두시위 등의 대응책을 단계적으로 실시키로 했다.
한국화훼협회와 농림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92년말 현재 전국의 꽃재배농가는 1만3천가구,꽃가게는 5만여소에 이르고 있으며 총 생산액은 3천9백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15일 정부의 규제정책 발표이후 양재동 화훼공판장 경락가격 기준으로 한단에 4천20원하던 국화는 2천3백60원으로,1천1백20원짜리 장미는 3백원으로 값이 폭락,평균 50% 이상의 가격 하락세를 보였다. 판매량도 예년의 경우 비수기인 6월 하순에는 업체당 하루 평균 3∼4개의 화환주문이 있었으나 정부발표 이후 1개 정도로 뚝 떨어졌다.
이에따라 꽃 공판장 경매에서 팔리지않는 불락률이 평소보다 2배 이상 늘어난 30%에 달하고 있다.
전두환·노태우씨 등 역대 대통령이 국립묘지 등에 헌화할때 사용했던 소위 「대통령꽃」을 도맡아 제작했던 우춘방화원(서울 역삼동)의주인 유기홍씨(74)는 『화환의 규모를 줄이는 것은 찬성하지만 생화판매 가운데 80∼90%의 비중을 차지하는 화환을 금지할 경우 소매상들은 생존권을 위협받게 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