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임금협상 한달 늦어져/노사안정 이달말 분수령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새 노동정책이 큰 변수로/대기업 노조 잇따라 쟁의발생 신고
현대그룹 계열사의 노사분규가 경제·노동계의 최대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대기업의 임금협상이 이달말과 내달초에 집중돼있어 올해 노사 안정여부를 가름하는 중대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대기업의 임금협상에서는 임금인상률보다도 해고근로자의 복직과 노조의 인사·경영권 참여문제 등이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고 분규가 진행중인 현대계열사의 임금인상률이 높게 나타날 경우 이미 3% 이내에서 협상이 타결된 다른 그룹에 미치는 파장이 적지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대우그룹 계열 대우조선 노조는 해고근로자 26명의 복직과 함께 임금을 기본급 기준 15.7%(통상임금 기준 13.58%) 올려줄 것을 요구,22일 쟁의를 결의했으며 23일중 쟁의발생 신고를 마치기로 했다.
또 대우자동차 노조는 42명의 해고근로자를 원직에 복직시키지 않을 경우 쟁의를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대우기전 노조는 인사위원회에 노·사가 동수로 참여하도록 단체협약의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선경그룹 계열 유공은 지난해의 경우 3월말 협상이 마무리됐으나 올해는 회사측이 1.5∼2.0%의 임금인상안을 제시하는 반면 노조측은 8.3%를 요구하고 있고 SKC 역시 노조가 11%를 요구해 협상타결이 지연되고 있다.
이밖에도 기아자동차는 해고자복직 문제에 대한 협상이 쟁점이 되고있으며 한진그룹은 23개 계열사중 12개 기업의 임금협상이 타결됐으나 한진중공업은 회사측이 임금인상과단체협약을 함께 할 것을 주장하는 반면 노조측은 따라 할 것을 요구해 지난 14일 쟁의발생 신고를 마친 상태다.
재계의 한 관게자는 『올해 임금협상은 「고통분담」을 강조하는 새 정부의 신경제계획과 노동정책에 대한 윤곽이 늦게 드러나는 바람에 예년보다 한달가량 지연되고 있다』며 『올들어 노사관계자는 전체적으로 지난해 보다 안정된 분위기이나 「무노동 부분임금」과 해고자 복직 등 예년의 관행과 다른 노동정책이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