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종일 뉴스 … 뉴스 … 뉴스 ‘YTN 같은 라디오’ 나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내년엔 수도권에서 하루 종일 뉴스만 전하는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원회는 11일 서울 목동 방송회관에서 ‘보도 전문 지상파 라디오 방송사업자 정책 관련 공청회’를 열어 심사 일정과 기준을 제시했다.

이날 방송위의 김우석 지상파방송부장은 이달 중 사업자 신청 공고를 내고 8월 하순까지 신청 접수를 받아 9월 중순 사업자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업자 선정 기준에 대해선 현재 남아 있는 주파수(FM 94.5㎒)를 최대한 활용하고, 재난중계 등 공익방송을 많이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신청자가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부장은 “방송위가 사업자를 선정해 허가 추천하더라도 정보통신부에서 전파 사용 허가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실제 방송은 1년 뒤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청회에선 이 같은 방송위 방침에 대해 찬반 논란이 있었다. 이만제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은 “수도권은 정치·경제·행정의 중심지로 국내외 뉴스를 빠르게 전달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나 현재 라디오 방송 채널은 종합 편성과 음악·종교로 제한돼 지역 보도 전문 채널을 도입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서중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는 “보도 전문 채널이 청취자에게 ‘참여 뉴스’ 등 다양한 스타일의 뉴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일반 뉴스에서 소외된 계층에 대한 콘텐트를 일정 부분 할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송종길 경기대 교수는 “FM 주파수를 필요로 하는 사업자나 분야가 많은 만큼 뉴스 전문 라디오 채널이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것인지, 다른 분야의 수요는 없는지 살펴봐야 한다”며 신중론을 펼쳤다. 송 교수는 한두 달 만에 사업자를 선정하기보다 다양한 사업자들이 참여하도록 일정을 늦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