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종혁시시각각

'그놈의 헌법'은 수호돼야 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하지만 짬나는 대로 나갔다. 그때 모두 목쉬게 외쳤다. "호헌철폐, 독재타도."

이른바 6월 민주화 항쟁에서 우리가 원한 것은 개헌이었다. 체육관에서 치러지는 간접선거가 아닌,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도록 헌법을 바꾸라는 것이었다. 시민들이 이겼다. 군사정권이 졌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지금의 헌법이다.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된 대한민국 헌법은 그동안 누더기였다. 무려 여덟 차례나 개정됐다. 독재자 소리를 듣는 역대 대통령들이 제멋대로 바꿨다. 10년을 넘긴 헌법이 없었다. 87년 헌법은 달랐다. 여야가 함께 모여 밀고 당기면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함부로 개헌할 수도 없게 했다. 그 뒤 어언 20년이 흘렀다. 그 생각을 하면 가슴이 뿌듯하다. 자랑스러운 헌법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2일 그런 헌법을 '묵사발'로 만들었다. 무려 4시간 동안 계속된 '참여정부 평가포럼' 강연에서다.

솔직히 무슨 종교집회를 방불케 한 그 행사에서 노 대통령이 '원맨 쇼'(민주당 유종필 대변인)를 했든 '자아도취와 과대망상의 나르시시즘'(한나라당 강재섭 대표)에 빠졌든 별 상관하고 싶지 않다. 한두 번 그런 것도 아니고, 또 그걸 볼 날도 그리 많이 남지는 않았으니까.

하지만 "캬, 토론하고 싶은데 그놈의 헌법에 못하게 돼 있으니…"라고 비아냥 댄 노 대통령의 발언에는 가슴이 뜨거워진다.

'그놈의 헌법'이라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피를 흘리고 청춘을 바치고 인생을 걸어서 쟁취해 낸 헌법인데 거기다 발길질을 해 대는가. 혹시 대통령은 취임하면서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로 시작되는 선서를 하는 '헌법의 수호자'라는 사실을 잊었는가. 아니면 헌법을 수호하기 부담스러운가. 그럼 빨리 대통령 직에서 물러나는 게 옳다.

기왕 말이 나왔는데 맞다, '그놈의 헌법' 때문이다. 걸핏하면 국민을 이간질하는 발언을 하고, 대통령 직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야당 대표들을 훈계하는 지지율 20%대의 대통령을 그냥 참고 넘어가는 것도 '그놈의 헌법' 탓이다 (헌법 제70조 대통령의 임기). 선거법 위반인 듯한 발언을 쏟아내도 현직 대통령에 대해선 재직 중 형사소추를 받지 않게 한 것(헌법 제84조)도 바로 '그놈의 헌법'이다. 임기가 열 달도 안 남았는데 기자실을 통폐합하겠다며 국민 세금을 맘대로 쓰는 권한을 부여한 것(헌법 제66조 제4항)도 마찬가지다. 어찌 보면 '그놈의 헌법'이라고 말하고 싶은 건 노 대통령이 아니라 국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 대통령께 말씀드린다. '그놈의 헌법'은 수호돼야 한다고. 헌법은 역사고 국민이라고. 나에게 유리하면 삼키고 불리하면 뱉어내는 게 아니라고.

노 대통령은 스스로 '세계적인 대통령'이라고 했다. 많은 국민, 어이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노 대통령이 민주화 투쟁을 했던 건 맞다. 87년 헌법을 쟁취하기 위해 쏟았던 고단한 노력을 노 대통령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래서 헌법 비하 발언은 말실수였다고 믿고 싶다. 정말 오랜만에 들어보는 박수 소리에 홀리고 환호하는 청중에 도취돼 그랬다고 보고 싶다. 노 대통령이 속으로 헌법을 어떻게 생각하든 좋다. 하지만 '그놈의 헌법'은 대통령이 할 수 있는 발언이 아니다. 대통령뿐이 아니다. 대한민국 국민 된 자는 누구든 헌법을 모욕해선 안 된다.

김종혁 사회부문 부에디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