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화사고 관리 겉돈다/“매출 준다”제약사 비협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부작용 사례 등 공개 꺼려/7월까지 보고사례 21건뿐
의약품의 부작용·약화 사고에 대한 관리가 겉돌고 있다.
전국 1천2백여 병·의원 및 양국이 모니터기관으로 지정돼 운영되고 있으나 부작용 사례의 보고건수는 선진국의 수십∼수백분의 1에 불과하고 공개를 꺼리는 의사·약사 및 제약회사의 비협조로 심각한 약화사고는 제대로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
현재 의약정보실을 설치 운영하며 의약품 부작용의 메커니즘·실태를 파악하고 있는 곳은 서울대병원 단 한곳뿐이다.
3일 보사부에 따르면 모니터기관을 통해 보고된 의약품 부작용 사례는 88년 5건,89년 11건,90년 48건,올들어 7월말까지 21건 등으로 최근 수년간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그러나 이들 사례는 모두 의약품 신규허가 사항에 이미 반영됐거나 반영될 예정인 것에 불과하고 약물의 안전성 테스트 후에도 추적조사를 지속적으로 펴야할 많은 부작용 사례들이 정보의 공개에 따른 매출액 감소를 우려한 제약회사들의 비협조로 제대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
보사부 관계자는 『일본 등 선진국과 달리 부작용 피해구제 제도가 없는 실정에서 약화사고가 발생하더라도 피해자에 대한 보상 및 배상을 민간차원에서 해결할 수 밖에 없어 관계자들 대부분이 공개를 꺼리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보사부는 제약회사의 연간매출액중 1천∼2천분의 1 이하를 떼어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 기금」을 만들어 94년부터 운영할 방침이나 축적된 부작용 정보가 적어 소비자들이 어떤 경우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 등에 관한 구제기준의 마련과 기금의 효율적 운영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