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고교생 업체근무자|교육기회 확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전문대 입시 자율화 의미>
새 전문대 입시제도는 전문대를 일방 4년제대학과 차별화시켜 전문대의 기능·위상을 새로 설정하고 실업계 고교생및 산업체 근무자들에 대한 계속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전문대 입시는 그 시기를 전·후기대학입시가 모두 끝난 뒤로 정해놓아 「전문대=4년제대학 낙방생이 가는 곳」이라는 잘못된 사회적 통념을 만들었으며, 전형방법도 「내신+학력고사」라는 4년제대학과 유사한 형태로 함으로써 적격자선발과는 거리가 있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사실 서울예전·동양공전·안양전문 등 수도권지역 우수 전문대의 경우 많은 학생들이 소신에 따라 전문대에 진학, 내신 4∼7 등급의 성적좋은 학생들이 수두룩한데도 사회의 시각은 그렇지 않아 교수·학생들의 불만이 많았다.
새 제도는 일반전형의 경우 내신성적을 40%이상 반영하는 것외에는 모든 전형기준을 대학의 자율결정에 맡김으로써 직업교육을 받고자하는 수험생의 열의·태도 등을 중요한 전형자료로 삼을 수 있는 길을 터놓았다. 특히 「우선전형제」를 도입, 내신성적이 상위 3분의1 이내에 드는 학생의 경우 학교장추천만으로 입학할 수 있게 한 것은 전문대 소신지원자를 우대함으로써 직업교육의 위상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입시시기를 자율화함으로써 학생모집에 자신있는 우수 전문대는 전기 또는 후기 대입과 같은날 전형을 실시토록 함으로써 입학생들이 긍지를 지닐 수 있게 하고 학생모집에 자신이 없어 종전처럼 전·후기 이후를 고수해야 하는 비우수 전문대에는 분발을 촉구하는 동기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전문대 입시가 독자적인 형태를 갖게되면 고교생들에게 일찌감치 「학문」이냐, 「직업교육」이냐의 선택을 요구하게돼 과열 대학입시 해소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문대입시 자율화는 이밖에 멀지 않은 시기에 이뤄질 일반대학 입시의 완전 자율화에 대한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문대측에 최대의 자율을 보장한 이번 조치가 전문대간의 공조로 나름대로의 가닥을 잡아가지 못하고 중구난방식의 혼란으로 나타날 경우 대학입시의 전면 자율화 시기는 상당히 늦춰진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이와 관련, 전문대 학장들의 모임인 전문대교육협의회측은 7, 8월중 지역별·계열별 교무담당자 모임을 통해 대학·수험생 모두에게 유리한 전형날짜와 전형방법을 찾아 몇 가지로 정리할 방침이다. 【김동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