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팎 협공당하는 한국 IT] 해외선 中 저가품에 '휘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한국의 정보기술(IT) 제품들이 해외 시장에서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려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디지털방송용 셋톱박스의 경우 중동시장에서 한국 제품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지난해 90%에서 올해엔 50%선으로 밀릴 전망이다. 셋톱박스 제조 업체인 휴맥스의 중동지사 한만수 부장은 "저가형 모델의 경우 중국은 한국산의 절반인 30달러에 제품을 내놓으며 점유율이 60%로 껑충 뛰었다"고 전했다.

중국의 통신장비 회사 화웨이(華爲)와 중싱(中興)통신은 최근 국내 업체를 따돌리고 각각 파키스탄과 인도에 이동통신 장비를 납품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중국이 제시한 납품 단가는 우리의 4분의 1 수준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중국은 2001년 삼성.LG 등에서 이동통신 장비를 수입하며 통신장비 개발 기술을 이전받은 뒤 이를 바탕으로 올 들어 자체 생산을 시작했다.

하지만 첨단 기술이 들어간 고부가가치 IT 시장에서는 아직 중국이 한국을 쫓아오지 못하고 있다. 중싱통신은 1999년 한국에 퓨처텔이란 연구법인을 세우고 한국 기술 인력을 채용해 제품을 개발하게 한 뒤 중국 내에서 휴대전화를 만드는 식으로 기술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한국산업기술재단 김찬준 박사는 "최근 중국 정부는 중간단계 기술은 접어두고 바로 첨단 기술 개발에 도전하는 '기술 도약' 전략을 채택해 우리와의 격차는 더 빠른 속도로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