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선거혁명이루자 주권의식 확립위한 캠페인:2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공명」앞장선 시민단체들/이번도 타락 못막으면 “끝장”/“정치권 자발적 정화기대 이미 틀렸다”공감/“이런 사람은 낙선 시키자”선택기준도 마련
올 4대선거에 대한 불안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금권·타락선거를 막기위한 시민운동단체들의 자구노력이 본격화하고 있다.
이들 단체들은 불법타락선거가 재현될 경우 해방후 처음으로 맞은 민주화의 기회상실은 물론 경제파탄이란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는 위기의식의 공감대 속에 한 세력으로 결집,대대적인 시민감시활동을 전개한다는 한가지 목표를 향해 뜻을 모아가고 있다.
불법선거를 방치할 경우 결국 그 피해당사자는 정치인이나 정당이 아니라 국민들이 자신이라는 주권의식의 자각이 천차만별의 성향과 활동영역을 가진 이들 단체들을 한자리로 모으는 구심력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기초·광역의회 선거를 계기로 활동을 시작한 공명선거협의회(공선협)를 주축으로 진행되고 있는 시민단체들의 「공명선거 시민대책본부(가칭)」구성 움직임은 9일 연석회의를 거쳐 15일 구체적인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경실련 사무총장으로 공선협 사무처장을 맡고있는 서경석 목사는 『현재의 선거풍토를 내버려둘 경우 돈이 정치를 지배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면서 『돈안쓰는 선거풍토조성의 전제조건인 금융실명제실시나 선거법개정이 정부와 여야의 당리당략에 묻혀 수포로 돌아간 상황에서 이제는 국민의 힘으로 해결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결성배경을 설명했다.
관변단체에 의한 공명선거운동은 종이호랑이에 불과해 오히려 불법선거를 부추길 우려가 크다는 점도 이들의 결집에 큰 몫을 하고 있다.
서사무처장은 시민대책본부에 참석할 수 있는 단체의 성격을 『정당의 하루조직이나 명백한 관변단체,극좌나 극우단체를 제외한 모든 단체의 가입을 환영한다』며 『보수와 진보,친여와 친야를 구분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 87년 대선과 88년 총선에서 활동했던 민주쟁취 국민운동본부가 친야성향의 운동권 위주였던 것에 비해 새로 발족될 시민대책본부는 성향을 가리지않는 포괄적 성격의 시민감시운동기구라는 점이 특색이다.
편향된 성향의 단체만으로는 전국민적인 관심을 끌 수도 없으며 범국민운동으로 확산시킬 수 없다는 판단이다.
정치권의 자발적인 정화가 불가능한 이상,국민들이 단합해 돈쓰고 타락한 입후보자를 낙선시키자는 「본때를 보이자」는 것이 이 운동의 근본취지다.
시민대책본부는 이에 따라 선거부정고발센터를 시·군·구까지 확대 설치,고발창구를 손닿는 곳에 둔다면 후보자들도 마음대로 돈을 뿌리지는 못할 것이란 주장이다.
서처장은 『시민단체들이 본격적인 선거감시에 나서면 중앙선관위와도 긴밀히 협조해 감시활동의 효율을 높여나갈 계획』이라며 중앙선관위와의 유대에도 의욕을 보이고 있다.
이 단체는 발족한 뒤 유권자 의식개혁운동을 촉발시키기 위해 「선거와 관련한 일체의 금품을 받지 않습니다」「우리는 투표에 참여합니다」라는 내용의 스티커 1천만장을 제작,가입단체와 종교단체의 협조를 얻어 배포해 대문에 부착토록 한다는 대대적인 캠페인도 계획하고 있다.
공선협에 가입한 여사단의 박성규 조직부장은 『시민감시운동은 주권의식 회복운동』이라고 규정하면서 『이 운동이 헛된 외침이 되지않도록 유권자의 주인의식에 호소하고 후보자들이 두려움을 느낄만큼 많은 단체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여성유권자연맹의 신낙균 회장도 『이런 사람은 뽑지말자는 식의 유권자 선택기준을 발표하고 지역강좌를 통해 감시운동을 확산해 나갈 계획』이라며 『선거가 거듭될수록 선거풍토는 악화일로를 치닫고있어 생존의 위협까지 느끼는 단계에 이르렀다』며 참여배경을 털어놨다.
한국노총은 공명선거 시민운동에 참여,산하노조를 통한 불법선거운동 감시에 나설 계획이다. 이광환 정치국장은 『정부는 물가상승과 국제수지 적자확대의 책임을 노동자에게 지우려하고 있다』며 『노조가 선두에 서서 망국선거풍토를 바로 잡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YMCA의 김대연 총무는 『YMCA도 선거에서 고발과 감시의 역할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며 『금품향응을 받는 사람들이 오히려 부끄러움을 느끼도록 선거분위기를 바꿔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들 단체들은 한결같이 국민들속에 잠재해있는 공명선거의 여망을 촉발시켜 대대적인 시민운동으로 확산시킨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어 선거혁명이 가시권에 들어올 수도 있다는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김두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