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산 민자개발 시비-인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인천계양공원 민자유치 개발방안」을 둘러싸고 인천시는 「시민들에게 종합적인 휴식·놀이공간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명분으로 이를 찬성하고 있는 반면 자연보호단체들은 「자연파괴」를 이유로 반대, 계양산개발 찬반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이는 인천시가 당초 계양공원의 자연경관을 크게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시 자체예산으로 자연공원으로 개발키로 했으나 최근 당초 방침을 수정, 민간자본을 유치, 대규모 위락시설을 갖춘 시민종합 휴식공원으로 개발키로 결정한데 따른 것이다.
◇계양공원개발=인천시는 지난88년 시공원 제1호인 계양공원을 2001년까지 86억원(토지보상비 60억원, 시실공사비 26억원)의 예산을 투입, 자연경관을 크게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양산성을 복원하고 전망대(신축 중)·사적관·부평도호부청사(모조품)·팔각정· 야외공연장·진입로·휴게소등 14종의 각종 시설을 갖춘 도시자연 공원을 조성키로 했다.
그러나 공원부지의 35%(55만6천4백24평)를 소유하고 있는 대양개발(대표 김충남)이 지난해 8월 94년까지 6백억원을 들여 시민공원(대양월드)을 조성하겠다고 사업계획 승인을 신청하면서 인천시와 대양개발은 사업 시행권을 놓고 대립하기 시작했다.
대양측의 사업계획은 이 지역을 유희시설 30여종, 간이골프장·눈썰매장·청소년회관 등 모두 96개 시설 등을 갖춘 시민종합 휴식공간으로 개발한다는 것이었으나 인천시는 간이골프장 등 96개의 시설이 들어설 경우 표고 1백50m로 급경사를 이루고 있는 계양산의 자연경관이 크게 훼손된다는 이유로 사업계획을 반려했다.
그러나 인천시는 지난7월 당초의 「사업승인불허」방침을 번복,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간이골프장 건설제외 ▲위락시설 규모축소 ▲자연상태활용 시설확충 등을 조건으로 대양 측의 사업계획안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
인천시가 이같이 당초 방침을 수정, 사업규모축소 등을 조건으로 대양 측의 사업계획을 받아들인 것은 지난 10월 이후 열린 당정협의 및 국정감사 과정에서 일부 정부고위층 및 의원들이 『민자를 유치해 계양산을 적극 개발하자』는 압력을 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찬·반 대립=인천시 생활체육협의회 유돌용 북구협의회장 등 6명의 구 협의회회장들은 9월4일 인천시에 제출한 건의문을 통해 『시민들의 휴식공간 및 시민생활체육도장 마련을 위해 인천시와 정부가 마땅히 종합휴양 공원시설을 조성해주어야 한다』며 시와 대양 측의 개발방침을 찬성했다.
그러나 정요일 인하대교수를 비롯한 학계·종교계·법조계·시민 등 7O여명은 지난8일 가칭 「계양산 살리기 인천시민운동본부 준비위원회」를 결성, 인천시와 대양개발 측에 의해 추진되는 계양공원 개발사업은 필연적으로 계양산을 크게 훼손시키고 환경공해문제 등을 야기 시킬 것이라고 지적,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자연환경을 크게 훼손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양공원을 개발한다는 본래의 시 계획안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사업시행 이전에 환경영향평가·주민의견청취 등의 과정을 거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고고학자 등 전문가를 참여시켜 지표조사를 실시하고 문화재보존·발굴작업도 병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인천=김정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