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 우리가 힘모을 때" 전국민간단체 발벗고 나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전국 각지역의 민간환경보호운동단체들이 최근 전국규모의 상설협의체구성을 모색하는등 환경문제 해결에 적극적 연대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는 환경문제가 「국민이 가해자이면서 동시에 피해자」라는 인식아래 관주도가 아닌 범국민운동차원에서 적극 대처하는 것으로 주목을 끌고있다.
낙동강상수원 페놀오염과 최근의 골프장건설문제등 주요사안별로 부분적인 연대움직임을 보여왔던 각민간환경단체들은 지난달 11일부터 3일간 충북매포에서 전국 21개단체 1백23명이 참가한 가운데 「91 전국환경단체 연합수련회」를 가졌다.
또한 공해추방운동시민연합(공추련)과 부산공해추방시민운동 협의회등 전국8개 환경보호단체는 2월부터 「전국환경단체연대회의」를 운영, 매달 한차례 정기모임을 갖고 각단체간 공동연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해왔다.
이 연대회의가 목표로하고 있는 것은 크게 두가지.
우선 올해 12월말까지 전국규모의 「상설협의체」를 출범시켜 이를 통해 전국 각지역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졌던 환경운동을 하나로 묶어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연대회의에 참가하고 있는 8개단체이외에 20여개에 이르는 전국단체들의 협의체 참가가 예상되고 있어 「상설협의체」는 민간환경운동의 새 구심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와 아울러 연대회의에서는 90년대 중반까지 민간 환경연구소를 설립해 이제껏 관이나 사업체중심의 환경영향평가·연구를 지양하는 대신 순수민간 중심의 환경연구조사작업을 벌인다는 구상이다.
연대회의에서는 이를 위해 기자재 및 전문연구인력확보에 관한 구체적인 시안까지 마련해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 「배달환경연구소」 소장 장원교수(35·대전대 환경공학)는 이에 대해 『환경문제가 발생하면 정부나 사업체가 주도하는 연구소가 환경영향평가등을 담당해 전체적인 흐름을 왜곡하는 사례가 있었다』며 『이러한 오류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민간차원의 환경연구소, 또는 환경연구용역을 할만한 민간기구의 설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전국규모의 연대회의와는 별도로 서울·경기지역의 환경단체들도 상설공동협의체를 구성할 움직임이다.
공추련과 「푸른 한반도 되찾기 시민의 모임」등 서울지역 6개 단체는 지난 4월부터 매달 한차례의 정기적인 회합을 통해 환경문제에 관한 공동관심사를 논의해 오고있다.
이들 단체는 13일 서울종로5가 기독교회관에서 「골프장건설반대 대중강연 및 결의대회」개최를 통해 현재 가장 큰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골프장문제해결에 공동보조를 취해나가기로 결의했다.
이를 위해 이들은 현재 골프장이 건설중인 경기도내 각지역을 찾아가 주민들과 연대해 건설저지운동을 벌이는 한편 주민·산악인들의 골프장건설반대 단식투쟁을 지원하는 활동을 펴고있다.
이러한 민간환경운동단체등은 재원·인력확보등에 있어서 아직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러나 지역현안에 따른 지역운동의 활성화와 또 이를 전체적으로 통괄해가는 전국규모의 상설협의체가 구성되면 우리사회 민간환경운동은 질적으로 한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광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