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체감물가/정부발표보다 5배나 차이/저축추진위 11개도시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통계신뢰” 20.7%뿐… 조사방법 개선 시급
주부들은 물가가 정부의 공식통계치보다 5배나 높게 올랐다고 느끼고 있다.
저축추진중앙위원회가 지난 6월초 전국 11개 대도시에 사는 결혼 1년 이상 주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주부들이 피부로 느끼는 물가상승폭(90.4∼91.4)은 49.9%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중 정부가 집계한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10.1%였다.
이같은 차이는 기본적으로 정부발표치가 대상품목의 평균적 물가수준을 반영하는데다 현재 대상품목이 85년 기준으로 되어있어 그동안의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체감물가는 개인이 주로 쓰는 한정된 품목,그중에서도 크게 오른 상품가격이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가를 포함해 정부의 공식통계에 대해 「신뢰한다」고 답한 주부가 20.7%로 「신뢰하지 않는다」(45.8%) 「그저 그렇다」(33.5%)에 훨씬 못미쳐 생필품지수의 확대보완 등 정부통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시급히 모색돼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78.3%의 주부가 「은행예금보다는 부동산투자가 낫다」고 답했고,고소득층일수록 부동산 선호도(월수 1백50만원 이상인 경우 89%)가 높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주부(82%)는 「일정규모 이상의 땅과 집을 갖지못하도록 법으로 정해야 한다」는 의견에 찬성했으며,「모든 금융거래를 실명으로 해야 한다」는 금융실명제 도입에도 64.2%가 동조했다.
「외국에 우리 물건을 팔려면 외국농산물도 수입해줘야 한다」는 생각(48.4%)이 「그렇지 않다」는 견해(27.7%)를 웃돌아 수출의존형의 경제여건상 농산물 수입도 불가피하다는 현실론을 인정하는 추세로 해석된다.
한편 주부들은 가장 시급한 경제현안으로 물가(69.3%)를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부동산투기(15.8%) 노사문제(4.8%) 빈부격차(4.1%) 등을 들었다.<심상복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