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경영합리화에 도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외국의 경우 이런 비능률을 줄이기 위해 출근시차제, 가변근무제(아무때나 나와 정해진 시간만큼만 근무하는 제도)등 다양한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극히 일부기업이 재택근무제를 시험적으로 도입했으며 공업시험원과 농촌진흥청에서 지난 85년부터 실시했던 가변근무제의 하나인 자율출퇴근제도는 업무에 공백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슬그머니 자취를 감췄다.
또 행정부의 출근시차제도 『러시아워 교통분산 효과가 8%에 달한다』는 연구기관의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공무원의 기강을 흐트린다는 이유때문에 폐지됐는가 하면 승용차 함께타기 운동도 이미 빛이 바랬다.
일본동경 주변은 신간선과 국철를 이용, 도심에서 70∼80km이내에서 출퇴근이 가능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일본중견회사원들은 아침 일찍 잘 꾸며진 열차안에서 아침식사를 하고 신문을 보면서 출근을 한다.
정부도 분당, 일산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당초 서너개의 역만거쳐 도심과 연결되는 고속 지하철 건설계획을 내놓았지만 결국 통과지역의 주민압력과 정치적 논리에 의해 3분주행-2분정차의 기존 지하철과 똑같이 돼버렸다.
국토개발연구원 문동주박사는 『교통문제는 사회전체의 차원에서도 수요와 공급, 비용문제가 고려돼야 하지만 민간기업 차원에서도 경영합리화의 중요한 요소로 교통문제를 고려해야 할때』라며 『특히 교통수요측면에서 민간기업의 수요가 70%를 차지하는만큼 신사옥이나 공장의 위치선정은 물론, 정보산업의 발달에 힘입은 새로운 근무형태의 연구와 도입은 갈수록 악화되는 교통난을 덜 수 있는 중요한 변수』라고 말했다.
교통개발연구원의 이종호박사는 『서울등 대도시의 경우 자연조건에 따라 적당한 비용으로 수용할 수 있는 인구와 교통의절대적 한계가 있다』며 『결국 지방분산화도 기업이 결정적 비중을 차지하는만큼 사회전체나 개별기업 경영차원에서 손익을 합리적으로 따져보아야 할때』라고 말했다. <이철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