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쓰레기소각장 건설비/입주자에 물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가구당 75만∼백30만원꼴/12개시에 재활용 센터도/환경처 쓰레기처리 종합대책
환경처는 19일 분당·일산을 비롯해 앞으로 건설될 모든 신도시의 쓰레기 소각시설을 개발업자·입주자등 수혜자의 부담으로 건설키로 했다.
또 신설될 30만평이상의 공단,연 3만t이상 특정폐기물을 배출하는 공단은 반드시 자체 쓰레기매립장을 확보토록 의무화하고 기존공단에 대해서는 매립장건설을 적극권장키로 했다.
권이혁 환경처장관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노태우 대통령에게 한 업무보고에서 이같이 밝히고 포화상태인 산업쓰레기의 처리를 위해 김포해안매립지에 1천억원을 들여 95년까지 대규모 유해폐기물처리장(하루 3백t용량)을 건설하는 한편 「폐기물 재활용센터」를 서울·부산·대구등 인구 50만이상 12개도시(17곳)에 올해 건설하겠다고 보고했다.
환경처는 또 전국 44개 공단에 산업폐수를 2차처리키위한 종말처리장을 95년까지 연차적으로 건설(예산 1조2천1백억여원),유해폐수가 1차처리만 된후 하천에 흘러들지 않도록 할 방침이다.
수혜자부담원칙에 따라 신도시에 세울 쓰레기소각시설의 건설비용이 만약 입주자들의 부담으로 돌아갈 경우 입주자들은 가구당 평균 75만∼1백30만원(일산 1백30만원,분당 90만원,평촌·산본·중동 75만원)부담을 안게될 것으로 보여 논란이 예상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