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만강변 북한 경제특구/한국참여 실현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중·소등과 경쟁적 유치전 양상/공식요청없이 민간차원 협의
북한의 두만강변 경제특구 건설계획에 대한 남한의 참여가능성 여부가 주목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지난달말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열린 유엔개발계획(UNDP) 회의에서 북측이 경제특구에 대한 한국측의 참여를 요청해왔으며 8월27일 중국 길림성 장춘에서 열리는 국제회의에서 이 문제를 협의할 것이라는 얘기다.
그러나 당시 울란바토르회의에 참석했던 정부관계자들은 『북측이 특구건설계획을 밝힌 적은 있으나 아직 공식적인 참여요청은 없다』며 북한의 경제특구에 대한 남한의 참여기대는 성급한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더구나 울란바토르회의에 나온 북한측 관계자는 대외협력부총국장으로 우리로 치면 대한무역진흥공사(KOTRA)의 부장급 정도여서 큰 비중을 두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다만 북한이 경제특구 건설계획을 갖고 있는 것은 틀림없다.
북한은 현재 나진·웅기(북한지명 선봉)·경원(샛별)을 잇는 1백40평방㎞에 특구를 건설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중 40평방㎞는 호수지역이어서 실제로 공장건설이 가능한 것은 1백평방㎞ 정도다.
북한은 이와 함께 각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를 건설하고 나진등의 항만을 대폭 확충할 계획이다.
한때 경제특구건설 예정지역으로 알려진 청진은 특구가 아닌 배후도시의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특구건설계획은 UNDP의 두만강유역 개발사업과 맞물려 있다.
UNDP는 두만강 하류에 서울 여의도 크기의 섬 「합산도」를 중심으로 북한·중국·소련 등이 공동참여하는 개발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드러나지 않고 있는데다 UNDP의 자금력에 대해 회의를 갖는 시각이 강하다.
중국은 최근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밝힌대로 훈춘(혼춘)에 남북한과 중국·소련의 상품교역시장을 만들 계획이며 소련은 핫산 또는 나홋카항을 중심으로 한 개발계획을 짜놓고 있다.
북한·중국·소련 등이 각각 추진중인 경제특구 건설계획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UNDP의 구상대로 합산도를 중심으로 두만강유역의 개발이 활기를 띠게 될 것으로 보인다.<길진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