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공중에 날린 제조업 일자리 88만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기업의 해외 이전과 국내의 설비투자 감소가 가속화하면서 '제조업 공동화'가 위험수위에 이르렀고 성장잠재력에도 적신호가 켜졌다는 실증적 분석이 나왔다. 이런 우려가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그 속도와 정도가 너무 빠르고 가파르다는 데 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제조업의 해외 투자는 1994년 1천건에서 지난해 1천8백여건으로 급증, 현재 해외투자가 국내 설비투자의 10%에 이르고 있다. 과거에는 섬유.의류 등 단순 임가공 업체들이 중국 등지로 주로 나갔지만 최근에는 전기.전자 등 첨단 분야까지 대거 한국을 등지고 있다.

반면 국내외 기업인들이 한국에서의 신규 투자를 기피하는 바람에 국내의 제조업 일자리가 90년 5백4만개에서 올해 4백16만개로 무려 88만개나 줄었다. 선진국의 경우 제조업 고용비중이 10~17%포인트 떨어지는 데 30년 넘게 걸린 반면 우리는 불과 12년 만에 8%포인트나 하락했다. 청년 실업 등의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기업인들이 고임금-저효율의 노동력에다 공격적 노조, 비싼 땅 값에 끝없는 규제 등으로 국내에서 제조업을 할 의욕을 잃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 등지로 가면 땅값.인건비가 싸지, 노사 갈등이 적지, 정부 지원까지 대폭 있으니 굳이 한국에 머물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우리가 금융 등 정보.서비스 산업만으로 먹고 살 형편도 아니니 이대로 가면 한국 경제는 미래가 없다는 우려가 기우만은 아닌 것이다.

제조업 공동화와 성장잠재력의 잠식을 막기 위해 더 늦기 전에 정부와 정치권, 기업과 근로자가 힘을 모아야 한다. 정부는 무엇보다 일부 강성 노조 때문에 한국 경제가 더 이상 골병들지 않도록 법과 원칙을 준수하는 한편 규제는 과감히 풀고 정책의 불확실성을 제거해야 한다. 노조도 당장의 혜택과 세불리기에 골몰할 때가 아니다. 제조업이 공동화하면 노조의 세력도, 과실도 훨씬 줄 것임을 성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