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기록·도서관 만들자 … 대선 주자들 "꼭 필요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역대 대통령의 좋은 점은 통합의 에너지로 삼고, 잘못된 점은 교훈으로 남기자는 취지로 '역대 대통령 기록.도서관을 짓자'는 중앙일보의 2007년 어젠다가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본지 1월 1일자 3면, 2일자 1.4.5면>

여야의 주요 대선 주자들은 한목소리로 기록.도서관 건립 제안에 공감했다. 기록관 건립 방안을 구체화하기 위한 학술회의도 추진되고 있다.

◆"후세를 위해 꼭 필요한 사업"=역대 대통령의 기록.도서관 조성에는 정치권의 역할이 중요하다. 역대 대통령에 대한 평가를 놓고 갈라진 국민 여론을 통합하고, 관련 법률에 따라 예산을 지원하는 일이 정치권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4일 "국정에 관한 것은 모두 기록으로 남아야 한다"며 "좋은 부분이나 나쁜 부분이 모두 역사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대통령은 국정의 중심이기 때문에 공과(功過)에 관계없이 좋은 기록이든 나쁜 기록이든 충실히 보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대통령의 역사는 국가의 역사"라며 "좋은 점은 교훈으로, 잘못된 점은 반성으로 삼아 국가 발전의 계기로 활용하자는 취지에서 대통령 기록관은 의미있는 사업"이라고 말했다고 측근인 유정복 의원이 전했다.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는 "우리는 국가 지도자의 리더십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시대에 살고 있다"며 "한 시대에 국가를 이끈 대통령의 기록은 미래지향적인 국가관 확립에 중요한 좌표가 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후세를 위해 대통령 기록관은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덧붙였다.

◆"기록이 없으면 미래도 없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은 "부끄러운 역사, 아픈 역사도 우리의 역사"라며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기록되고 공개되도록 하자는 중앙일보의 제안에서 어떤 숙연함이 느껴진다"고 했다.

그는 "기록이 없으면 미래도 없다고 할 수 있다"며 "기록.도서관 건립 제안이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국회 차원에서 돕겠다"고 밝혔다.

"공은 공대로, 과는 과대로 역사의 기록으로 삼자는 데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긍정적으로 검토해 볼 사안이다. 다만 예산 문제는 국민적 공감이 선행돼야 한다"(고건 전 총리)는 반응도 나왔다.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는 "선거 때만 되면 전직 대통령을 만나러 갈 게 아니라 공식 기록을 확인하는 장소를 만들어 후손들이 교훈을 얻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여야 대변인도 "국고가 지원될 경우 모든 대통령에 대해 공과를 기록하는 기록관이 필요하다"(열린우리당 우상호),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추는 일이기도 해 바람직한 제언"(한나라당 나경원)이라고 환영했다.

◆학계, 관련 포럼 개최 추진=정치권과 학계, 종교계, 기업계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는 대통령포럼(공동대표 최평길 연세대 명예교수, 열린우리당 김부겸 의원, 한나라당 김학원 의원, 민주당 조순형 의원)은 대전에 청사가 있는 국가기록원과 공동으로 대통령 기록.도서관 건립 방안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3월께 국회에서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한다.

최평길 교수는 "국회의원과 국가기록원 관계자, 학계가 참여해 대통령 기록관리 방안과 역사적 의미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성화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장은 "정치 논리에 따라 역대 대통령이 평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앙일보의 제안은 매우 시기적절하다"며 "역대 대통령 측이 대학과 협력하고 정부가 관리.운영을 지원하는 미국 시스템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역대 대통령 모두를 대상으로 똑같은 공간을 배정해 자료를 모은 뒤 연구자와 일반에 개방하면 형평성 논란을 피할 수 있을 것"(이주영 건국대 교수)이란 의견도 제기됐다.

김성탁.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