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핵사찰 받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북한은 국제 관례상 국제 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에 응해야 하며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핵 제조와 관련된 모든 시설과 기술협조를 중단하겠다는 소련당국의 조치는 당연하다.
한국 원자력 산업회의(회장 안병화)·원자력 학회(회장 이창건)주최의「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국제협력 협의」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에 온 빅토 V 오롤로프 소련 원자력 학 회장은 16일 한-소 원자력 협력 각서에 조인한 뒤 가진 기자 회견에서 방일중인 소련 대통령 대변인, 세계 경제 및 국제 관계 연구소(IMEMO) 소장의 발언에 전적으로 동의했다.
-방일 중인 소련 당국자들이 북한이 핵사찰에 응하지 않으면 원자력과 관련된 물자공급과 협력을 중지하겠다고 경고했다는데.
『오늘(16일) 아침에야 비로소 알았다. 국제관례 상 당연한 일이다.』
-이번 조치가 북한과의 민간 교류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는지.
『공식적으로 말할 수 없다.』
-최근 북한의 영변에 핵무기 제조 관련시설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북한에 가보지 않아 모르겠다.』
-체르노빌 원전사고가 난지 5년이 지났는데 현재의 상태는.
『사고 원자로의 완전한 매장을 위한 영구 시설이 계획중이며 심한 방사능 오염 지역에는 각 나라의 전문가들이 참여, 생활권에 대한 사고결과의 영향이 연구되고 있다.』
-체르노빌 사태로 인한 소련의 원자력 정책변화는.
『사고 전에는 없었던 반 핵 운동이 일어나 최근 몇 년간 벌어지고 있는 정치적인 변화와 함께 원자력 정책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 개발계획이 대폭 조정되고 있다.
현재 가동중인 원자력 발전소 한곳이 폐쇄됐고 준비 단계이거나 가동 준비된 5기의 원자로 도입이 폐지 또는 중지됐으며 건설과 계획단계에 있는 수십 기의 원자로도 건설이 중지됐다. 특히 핵무기를 만드는 플루토늄 생산시설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체르노빌 사고의 사망자가 7천명 이상 된다는데….
『결코 그렇지 않다. 사고당시 2명, 그 뒤 30명이 사망했고 3백여 명이 입원했다.』<이원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