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공개념 이후 땅거래 부쩍 늘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전국 98만… 서울 17만건/매입자 절반이 서울사람/건설부,작년 거래 분석
토지초과이득세등 토지공개념 도입이후 놀고 있는 땅거래가 크게 늘어났으며 특히 외지인 토지매입자중 절반 이상이 서울사람들인 것으로 밝혀졌다.
6일 건설부가 분석한 90년 토지거래현황에 따르면 작년 한햇동안 전국에서는 98만8천74건의 땅거래가 있었으며 이와 관련,25억1천5백45만9천평방m(7억6천2백26만평)의 땅이 주인이 바뀌었다.
건수로는 서울·경기·전남·경남북이 전체의 57.2%를 차지했으며 서울에서만 17만4천3백75건의 거래가 이뤄졌다.
매매된 서울땅의 97.7%는 나대지로 나타나 토지초과이득세·택지소유상한제 등 토지공개념 도입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면적으로는 경북과 전남이 40.5%를 차지해 이들 지역에서 대단위 거래가 있었다.
지목별 건수는 대지가 54만9천9백92건(55.7%)으로 가장 많았고 답(17만8천3백44건),전(12만9천8백50건),임야(9만6천1백99건),공장용지(3천2백87건)의 순이었다.
그러나 면적으로는 임야가 16억3천4백8만평방m(4억9천5백17만평)로 65%를 차지,인기품목임을 보여줬다.
개인끼리 사고 판 땅이 건수·면적에서 90%를 차지했으나 법인은 8천3백75만평방m를 내다판 대신 2억98만평방m를 사들여 1억1천7백24만평방m(3천5백53만평)의 땅을 더 갖게 됐다.
규모별로는 1백평 이하의 자투리땅 거래가 59만60건(59.7%)이었으나 1만평 이상의 큰땅거래도 1만4천3백89건이나 됐다.
한편 90년 이전의 토지거래현황은 집계되지 않고 있는데 이에 대해 건설부 관계자는 『거래현황 파악의 기초자료가 되는 검인계약서의 제출의무화가 89년 하반기부터 실시됐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