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날 행사」싸고 또 마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1주일 앞으로 다가온 3월10일 근로자의 날 행사를 앞두고 5월1일 노동절 부활을 주장하는 노동계와 근로자의 날 고수를 고집하는 정부의 방침이 올해에도 팽팽히 맞서 혼선이 예상된다.
한국노총은 지난달 27일 열린 전국 대의원대회에서 현행 3월10일 근로자의 날은 57년 자유당정부의 강요로 변경된 행사이므로 민주노동운동에 발맞춰 근로자 본래의 명절인 5월1일 노동절(메이데이)을 되찾기로 결의, 이날을 유급휴일로 쟁취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3월10일 행사는 일체 거부키로 했다.
전노협도 노동쟁의 부활에 노총과 공동보조다.
노동부는 그러나 3월10일을 유급휴일로 하는 「근로자의 날에 관한 법」(63년4월17일 제정)이 살아 있는 만큼 노동절부활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맞서고있다.
노동부는 정부주최로 3월10일에 기념행사를 갖고 이날을 유급공휴일로 정해 근로자들이 하루를 쉴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노총결의대로 5월1일 노동절에 노사간의 단체협약 없이 노조 측이 일방적으로 쉴 때는 「무 노동 무임금」을 철저히 적용하도록 강력한 행정 지도를 펴기로 했다.
이 때문에 각 단위사업장은 근로자의 날을 유급공휴일로 쉴 것인지, 또는 노총결의대로 3월10일은 정상근무하고 5월1일 노동절을 유급휴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지 못해 혼선을 빚고 있다.
지난해에도 노동부와 노총 등 노동계가 노동절 부활을 둘러싸고 팽팽히 맞서 근로자의 날 행사가 반쪽행사로 끝났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