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잃은 여자축구 국고지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체육청소년부가 낙후된 스포츠종목을 육성한다는 미명 아래 불요불급한 특정종목에 파격적인 특혜지원을 계획, 균형을 크게 잃은 체육행정을 펴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있다.
체육청소년부는 30일 세계여자축구의 보급확대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여자축구의 조기육성을 도모한다는 이유로 올해 9월까지 창단되는 중·고·대학팀에 대해 3백만∼5백만원씩의 국고지원을 한다고 발표했다. 체육청소년부는 중학교의 경우 창단시 필요용품비 및 훈련비 명목으로 3백만원을, 고교·대학은 5백만원을 지원하며 축구협회는 이와는 별도로 91년에 창단되는 팀에 대해 5백만원에 상당하는 훈련용품을 추가 지원한다는 것이다.
체육청소년부는 이를 위해 올해 예산에 8천만원을 확보하고 시·도교육위원회를 독려, 최소한 1개 중·고팀이 창단되도록 유도키로 하는 등 전례없이 특정종목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또 체육청소년부는 여자축구를 이른바 「국가대표후보선수 육성종목」으로 편입, 상비군운영을 지원키로 하고 대표후보선수 소속학교에 대해 국고에서 9개월 동안 월 37만5천원씩을 지급키로 했다.
체육청소년부의 여자축구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을 놓고 대부분의 체육계 인사들은 『세계 정상급인 하키·핸드볼 등이 실엄팀이 없어 우수 선수들을 사장시키는 등 크게 위축되고 있는데도 계속 외면하면서 유독 여자축구에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투자 우선 순위가 뒤바뀐 난맥 행정의 표본으로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처사』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시급히 국고지원할 곳은 다른 곳에 있다. 여자축구가 스포츠로서 무슨 큰 의미와 가치가 있으며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바가 무엇이냐』 고 의문을 제기하고 『도대체 정부관리들이 체육계의 보편적 사고와는 전혀 동떨어진 시각으로 여자축구에 대해 병적으로 집착하는 이유를 밝혀라』 고 요구했다.
체육청소년부는 지난해 북경아시안게임때도 축구관계자들의 반대에도 불구, 여자대표팀을 급조해 파견함으로써 수준 이하의 경기를 펼쳐 국위를 스스로 손상시켰고 대표팀 운영마저 파행으로 몰아 말썽을 빚었었다.
한편 이와같은 체육청소년부의 적극적 자세에 편승, 축구협회는 올 하반기에 여자축구 전국대회를 신설 개최하고 전국체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도록 건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여자축구의 활성화를 위해 기존대회의 개막경기에 시범경기로 여자팀 경기를 실시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