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광화문 현판 당연히 한글로 쓰여야"

중앙일보

입력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을 하루 앞둔 14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열린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에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을 하루 앞둔 14일 오후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열린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에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627돌 세종대왕 나신 날'을 하루 앞둔 14일 "개인적으로 (광화문 현판은) 당연히 한글로 쓰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유 장관은 이날 서울 경복궁 수정전 앞에서 열린 '세종 이도 탄신 하례연' 기념사에서 이같이 말한 뒤 "고증을 거쳐 옛날 쓰인 현판을 그대로 재현해야 한다는 문화재 전문위원들의 의견이 받아들여져 그대로 됐지만, 오늘 이후 다시 한번 (논의에) 불을 지펴보겠다"고 했다.

하례연 참석에 앞서 김주원 한글학회장 등 행사 참석자들과 오찬을 한 유 장관은 "한글학회장님과 많은 학자 여러분이 광화문 (현판)이 왜 한글로 쓰이지 않았는지, 짧은 시간이지만 열띤 토론을 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검정 바탕에 금색 글자로 쓰인 지금의 한자 현판은 지난해 10월 광화문 월대와 함께 복원됐다. 광화문에는 1968년부터 박정희 전 대통령이 한글로 쓴 친필 현판이 걸렸다가 2010년부터 흰색 바탕에 검은 글자로 된 한자 현판으로 교체됐다. 이와 관련해 한글 운동 관련 단체들은 한글 현판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