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최재천 “한국은 재미있는 지옥…서로다름 인정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9년 만에 나온 신간 『숙론』을 소개하는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 [사진 김영사]

9년 만에 나온 신간 『숙론』을 소개하는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 [사진 김영사]

‘통섭’의 씨앗을 한국에 뿌린 과학자, 최재천 이화여대 교수가 이번엔 ‘숙론(熟論)’을 들고 나왔다.

기획과 집필에 9년을 들인 책, 『숙론』(김영사) 신간을 낸 그는 7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린 참 탁월한 민족이고 참 열심히 사는 데, 우리 사회는 왜 이런 지옥일까 궁금했다”며 “신뢰하고 합의를 만들어나가는 과정, 즉 숙론의 방법만 배운다면 살기 좋은 나라가 될지 모른다는 천진난만한 기대감으로 썼다”고 전했다.

굳이 토론 아닌 숙론이라는 단어를 택한 이유는 뭘까. 그는 “토론의 ‘토(討)’라는 글자는 ‘두드리다’라는 의미가 있다”며 “상대를 제압하려는 토론이라는 오염된 단어를 피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인문학과 자연과학 등, 서로 다른 학문의 연결을 꾀하는 통섭의 학자인 그가 숙론을 고민한 건 자연스럽다.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공감하며 합의점을 찾아나가자는 게 그가 제창하는 숙론의 핵심이다. 하지만 다른 게 곧 틀린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한국사회에선 쉬운 일은 아니다. 그도 인정한다. 그는 특히 “숙론을 제일 먼저 배워야 할 사람들은 국회의원들”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최 교수는 왜 지금이 숙론의 타이밍이냐는 질문에 “‘미국은 재미없는 천국이고 한국은 재미있는 지옥’”이라는 말을 꺼냈다. 그는 “한국이 재미있는 건 참 좋은데, 사실 사는 게 지옥”이라며 “광화문에선 촛불을 들고, 수백 미터 떨어진 시청 광장에선 태극기·성조기·이스라엘기까지 들며 극렬한 의견이 충돌한다”고 말했다.

숙론의 방법론에 대한 질문에서 그는 악착같이 노력하는 게 중요하다고 답했다. 동물 생태학자인 그는 “종달새도, 베짱이도 식음을 전폐하고 수컷이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있는 힘을 다해서 지저귀고 울어대는 것”이라며 “그런데 우린 소통에 대한 노력이 너무 안일하지 않은가”라고 반문했다.

그가 숙론을 펼치고 싶은 첫 번째 주제는 저출산 문제다. 최 교수는 “저출생 문제 때문에 대한민국은 수렁에 빠졌다”며 “대통령 혼자, 한 부처 또는 몇몇 현인만으로 풀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전문가 및 일반인을 다양하게 모아서 교묘하고 절묘하게 연결 고리들을 시간을 들여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우리는 일단 숙론의 과정은 어렵지만, 일단 숙론을 통해 결론이 나기만 하면 그 결과를 행동으로 옮기는 건 전광석화와 같을 것”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