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최훈의 심리만화경

해인이도 현우도 모두 슬펐던 것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최훈 한림대 교수

최훈 한림대 교수

한동안 주말에 새로운 루틴이 생겼었다. 와이프와 함께 드라마 ‘눈물의 여왕’ 보기. 이혼을 생각하던 부부인 해인과 현우. 그러나 해인이 시한부 판정을 받게 된 후, 다시 사랑이 시작되는 이야기. 우리 부부가 함께 눈물을 흘리며 애청했었다.

환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결심할 만큼 사랑하던 두 사람이 서로 멀어지게 된 건 유산된 아기를 대하는 태도 때문이었다. 어느 날 퇴근한 현우는 아기의 물건이 모두 버려지는 모습을 보게 되고, 죽은 아기를 쉽게 버리는 것 같은 아내 해인의 태도에 실망한다. 말 그대로 오만 정이 다 떨어져 버린 상황. 하지만 해인도 슬프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그 슬픔을 대하는 방식이 달랐을 뿐이다.

심리만화경

심리만화경

애도 이중과정모델에서는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처하는 2가지 방식을 이야기한다. 하나는 떠난 사람을 추억하거나, 그 사람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떠난 사람과 관련된 정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를 상실지향적 대처라고 하는데, 떠난 아기의 물건을 계속 보면서 아기를 떠올리며 추억하고 싶었던 현우의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이는 회복지향적 대처라고 한다. 슬픔을 떠올리게 하는 아기의 물건들을 치우고, 경영자의 위치로 빨리 복귀하고자 했던 해인의 방식과 유사하다.

우리는 이 2가지 방식을 번갈아 사용하며 슬픔에 대처한다. 아기의 물건을 모두 치워버린 해인이가, 초음파 사진은 끝까지 못 버린 것처럼, 1가지 방식으로만 슬픔을 대처하지 않는다. 하지만 타고난 성격과 현실적인 상황에 따라 주도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다를 수 있다.

어떤 방식으로 대처하든, 상실의 상황에서는 모두 아프고 슬프다. 나와 다른 대처 방식을 사용한다고 슬프지 않은 것은 아니다. 부부라면 슬픔과 그 슬픔을 대처하는 방식을 솔직히 서로에게 말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최훈 한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