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카드사 연체율 5년 새 최고…빚 못갚는 서민·중기 는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가계도 기업도 ‘경고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각종 지원책에 몇 년간 낮은 수준을 유지하던 연체율이 다시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에는 고금리에 경기 둔화까지 겹치면서 취약 계층과 중소기업 같은 약한 고리를 중심으로 대출 부실화 문제가 커지고 있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민 급전’ 창구로 통하는 신용카드사 연체율(카드 대금·할부금·리볼빙·카드론을 1개월 이상 갚지 못한 비율)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다시 치솟았다. 신한카드의 지난 1분기 말 연체율은 전년 동기(1.37%)보다 0.19%포인트 오른 1.56%였다. 2015년 9월(1.68%) 이후 약 9년 만에 최고치다. 같은 기간 하나(1.94%)·우리(1.46%)·KB국민카드(1.31%)도 모두 전년 동기보다 연체율이 올라 코로나19가 없었던 2019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서민이 주로 이용하는 제2금융권도 연체율 관리에 비상이다. 저축은행의 지난해 말 연체율은 6.55%로 전년(3.41%)과 비교해 3.14%포인트 급등했다. 최근에는 이 수치가 더 상승해 약 7~8%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고금리로 인해 이자 상환 부담이 늘면서 연체율이 쌓이기 시작했다. 특히 최근 건설업 침체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출 연체율이 오르기 시작한 점도 부담이 됐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연체율 경고등은 가계대출뿐 아니라 기업대출에도 켜졌다. 경기 둔화로 돈줄이 말라가고 있는 기업들이 금융권 대출을 늘리는 가운데 코로나19 관련 지원 등이 끊어지면서 연체율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대기업보다 현금 흐름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 연체율 상승 현상은 더 뚜렷하다.

금융감독원의 지난 2월 원화 대출 연체율 보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1월과 비교해 0.1%포인트 오른 0.7%로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중에서 중소법인 연체율(0.76%)은 같은 기간 0.14%포인트 올라 기업 대출 중 가장 상승 폭이 컸다.

금융사의 건전성 관리에도 비상이 걸렸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 올해 1분기에만 1조6079억원 상당의 부실 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했다. 지난해 1분기 상·매각액(8536억원)보다 88.4% 급증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이뤄졌던 대출 만기 연장이나 이자 지원 등 정부 지원책이 종료되면 연체율은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면서 “아직은 관리 가능한 수준이지만, 고금리 상황과 경기 둔화가 계속되면 건전성 관리에 빨간 불이 들어올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