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3개국서 마르크스-레닌주의 포기선인|아프리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베냉>
국민들의 거센 민주화 요구로 지난 2월 과도임시정부가 구성됐던 베냉은 이달 11일 다당제 도입을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 93.2%의 찬성으로 이를 통과시켰다.
베냉은 지난 72년 쿠데타로 집권한 마티유 케레쿠 정부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포기했다.
국민투표를 통해 채택된 신 헌법은 국회에 정부 견제기능도 부여하고 있다. 케레쿠 대통령은 내년 3월까지 대통령 및 국회의원선거를 실시할 것을 약속했다.

<카메룬>
반정부 유혈사태를 겪은 지난 5월까지도 일당제를 고수했던 카메룬은 지난 6일 의회에서 다당제를 도입한다는 새 정당법을 통과시켰다.
이 다당제 법은 부족이나 종교를 기반으로 한 정당의 창당만을 금지하고 있을 뿐 정당설립에 다른 규제를 가하지 않고 있으며 등록절차도 대폭 간소화했다.
이 법은 신설되는 정당의 당헌 등 관계서류가 관계당국에 신고된 후 1주일 이내에 정부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경우 정당설립이 자동 승인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폴비야 대통령이 이끄는 집권민주연합(RDPC)당 1당 지배체제는 그동안 민주화와 다당제를 요구하는 민주세력의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앙골라>
각각 미국과 소련의 지원을 받는 반군과 정부군의 내전으로 냉전의 잔재가 가시지 않은 앙골라는 지난 4일 집권앙골라 해방인민운동정당(MPLA)전당대회를 갖고 다당제와 시장경제도입을 결의했다.
산토스 앙골라 대통령은 이날『이번 전당대회가 일당제하의 마지막 대회』라며 일당제의 종식을 선언했다.
그는 이어 지난 75년 포르투갈로부터의 독립이래 채택해온 계획경제를 포기하고 시장경제원리와 민주사회주의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다당제 도입이 현재휴전협상을 진행중인 반군 앙골라 전면 독립민족동맹(UNITA)과의 합의가 없더라도 내년 초에 이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반군과 5차례의 평화협상을 가진 앙골라정부는 이미 지난달 21일 내전 종식 이후UNITA를 합법적 정치세력으로 수용하기로 한바있다.
이날 정부와 반군간의 협상을 중재한 포르투갈 외무부관리는『양측이 15년에 걸친 내전의 종식에 근접해 있다』고 밝힌바 있다.

<모잠비크>
지난해 7월 집권 모잠비크해방전선(FRELIMO) 당 대회에서 이미 마르크스·레닌주의의 폐지 및 계급투쟁 포기를 선언한 모잠비크는 지난달 2일 마침내 다당제 및 시장경제로의 이행을 글자로 하는 신 헌법을 승인했다.
지난달 30일부터 발효된 이 신 헌법은 모잠비크 인민공화국이란 국명에서「인민」이란 단어를 삭제하고「인민의 회」를「공화국의회」로 변경함으로써 이름에서부터 사회주의 냄새를 제거했다.
치사노 대통령은 또 비밀투표와 다당제에 따른 총선을 내년 중에 실시할 것을 약속했다.

<잠비아>
잠비아의 키운디 대통령이 지난 9월초 일당제 종식을 약속한데 이어 지난 9월 27일 잠비아의 집권 통일민족독립정당(UNIP)이 내년 10월로 예정된 다당제 총선의 후보로 현 카운다 대통령을 지명했다.
내년에 있게 될 선거는 다당제 도입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국민투표를 내년 8월 실시하겠다던 카운다 대통령이 계속되는 국내외의 압력에 굴복함으로써 확정됐다.
잠비아에서는 지난 9월 10일 수도 루사카에서 12만 군중이 모여 64년 영국에서 독립한 이래 이 나라를 통치해온 카운다 대통령에 반대하는 사상 최대의 정치집회가 있었다.
이날 집회에서 지난 7월 구성된 다당제민주운동 의장 아르투즈 위나는 현재 국민투표시기로 예정돼있던 내년 8월까지 다당제하의 총선이 실시돼야 한다고 촉구했었다.

<코트디부아르>
독립이래 최초의 대통령선거가 치러져 30여 년을 통치해온 휴보에 보이그니 대통령이 야당후보 로렌트 후보의 강력한 도전을 경험했으며 가봉에서도 복수정당제에 따른 최초의 국회의원선거가 치러졌다. <이영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