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로동·력사·녀자....이런 표기법 만든 경성제대 출신 언어 천재[BOOK]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책표지

책표지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
이타가키 류타 지음
고영진·임경화 옮김
푸른역사

로동-노동, 력사-역사, 녀자-여자, 론리-논리… 앞은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은 북한식, 뒤는 남한식 표기법이다. 두음 표기 방식은 현재 남북 간 정서법의 대표적 차이로 종종 거론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음법칙을 폐기하는 등 여러 가지로 남한과 달라진 북한의 표기법이 어떤 과정을 거쳐 확립됐는지 궁금해진다.

1942년 도쿄제대 대학원 시절의 김수경. [사진 푸른역사]

1942년 도쿄제대 대학원 시절의 김수경. [사진 푸른역사]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중반 무렵까지 북한 언어학의 모든 분야를 주도한 언어학자이자 언어정책의 설계자인 김수경(金壽卿·1918~2000)을 빼놓고는 설명이 어렵다.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은 남북한의 정서법에 차이가 생기게 된 연유에 대해 면밀하게 추적한 결과를 담고 있다. 그런데 이 평전의 지은이는 일본인이다. 저자 이타가키 류타(51) 일본 도시샤대 사회학과 교수는 자신을 ‘비판적 코리아 연구자’로 칭한다. 이 책의 일본어판은 2021년 발간됐다.

1935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시절의 모습. 뒷줄 왼쪽에서 네 번째로 술잔을 들고 있는 사람이 김수경이다. [사진 푸른역사]

1935년 경성제국대학 예과 시절의 모습. 뒷줄 왼쪽에서 네 번째로 술잔을 들고 있는 사람이 김수경이다. [사진 푸른역사]

김수경은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훗날의 서울대) 법문학부 철학과에서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구조언어학에 대해 배웠으며 탁월한 어학력을 가진 폴리글롯(polyglot·다언어 사용자)이었다. 그는 해방 후인 1946년 5월 서울에서 조선공산당에 입당했으며 그해 8월 17일 김석형·박시형과 셋이서 몰래 38선을 넘어 입북했다. 사흘 뒤 김수경은 김일성대학 창립 멤버로 문학부 교원에 임명됐다. 월북 후에는 주시경의 직계제자로 조선어학자이면서 연안계 정치적 리더였던 김두봉의 영향력 아래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1942년 도쿄제대 도서관 앞에서 이희승과 함께 있는 김수경. [사진 푸른역사]

1942년 도쿄제대 도서관 앞에서 이희승과 함께 있는 김수경. [사진 푸른역사]

1947년 6월 '로동신문'에 두음법칙을 폐지하는 것이 훨씬 더 언어생활에 유익하다는 내용의 글이 나흘에 걸쳐 게재됐다. 이 글은 북한 조선어문연구회를 대표해 김수경이 집필한 것으로 이타가키는 추정한다. 이 글에는 만약 한자가 완전히 철폐돼 한자를 한 글자도 모르는 사람이 등장했을 때, ‘같은 어원, 같은 의미의 음은 언제나 같은 문자로써 표시하는 것이 이해하기 쉽다’는 논리가 펼쳐졌다. 1933년 조선어학회가 책정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에 규정된 외래어 표기의 모순도 지적했다. 'Roma'의 경우 두음법칙을 적용하면 ‘노마’가 돼야 하는데 통일안은 ‘로마’로 적게 했다. 두음 ㄴ과 ㄹ의 발음문제에 대해서도 “그 음들은 실지로 발음할 수 있으며, 발음하고 있으며 또한 발음시켜야 한다”고 일축했다.

김수경은 해방 후 북한에서 최초로 제정된 ‘조선어 신철자법’(1948)의 집필자였다. 새로운 6개의 문자 요소 도입, 풀어쓰기 등 그가 검토했던 일부 안들은 실행으로까지는 이어지지 않았다. 김수경은 현행 북한 철자법의 기초가 된 ‘조선어 철자법’(1954)의 초안 작성 담당자이기도 했다. 또한 북한에서 공간(公刊)된 ‘조선어 문법’(1949), 중국과 일본의 동포들에게까지 널리 교육된 ‘조선어 문법’(1954)도 김수경이 집필한 것이었다.

1986년의 김수경. 아내 이남재에게 보낸 편지 속에 동봉한 사진이다. [사진 푸른역사]

1986년의 김수경. 아내 이남재에게 보낸 편지 속에 동봉한 사진이다. [사진 푸른역사]

김두봉이 1956년 ‘8월 종파 사건’ 이후 영향력이 줄어들고 1958년 실각하면서 김수경도 비판의 격랑에 휩싸였다. 1968년 김수경은 중앙도서관(1981년부터는 인민대학습당) 사서로 사실상 좌천됐다. 이후 20년간 공개된 연구업적이 전무하며 학계에서 자취를 감췄다. 1988년에 와서야 공적인 학술 활동의 장에 재등장했으며 복권됐다.

1998년 김수경과 이남재가 48년만에 상봉했을 때의 모습, [사진 푸른역사]

1998년 김수경과 이남재가 48년만에 상봉했을 때의 모습, [사진 푸른역사]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은 김수경이 2000년 타계하기까지 그의 개인사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는 한국전쟁 중 가족의 이산과 재상봉이라는 현대 한국사의 격동을 몸소 겪었다.

1943년 김수경과 이남재의 결혼식 때 모습. [사진 푸른역사]

1943년 김수경과 이남재의 결혼식 때 모습. [사진 푸른역사]

남한에서는 해방 후 오랫동안 북한의 학문사를 터부시해 왔다. 1980년대 이후에서야 북한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기 시작했다. 이 책이 김수경과 북한의 언어생활에 더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남북한의 맞춤법 차이 등을 해소하는 노력을 재개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