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커지는 신중동전 우려…70년대식 ‘오일 쇼크’ 오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이스라엘-하마스 간 전쟁이 사실상 지상전으로 격화할 조짐을 보이며 세계 경제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200달러를 넘을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나온다. 유가 급등에 따른 ‘오일 쇼크’가 고금리 장기화와 맞물려 1970년대와 같은 경기 침체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970년대 악몽’ 떠올리는 미국 경제

이스라엘군 병사가 29일(현지시간) 장갑차를 타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접경 을 순찰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이스라엘군 병사가 29일(현지시간) 장갑차를 타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접경 을 순찰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국제유가는 중동 지역의 갈등이 격화할 조짐에 상승세를 나타냈다. 지난 27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2.8% 오른 배럴당 85.54달러에 마감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12월물 브렌트유는 전날보다 2.9% 오르면서 90.4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현물 가격도 중동 불안을 반영, 뉴욕 금 선물시장(COMEX)에서 지난 5월 이후 처음으로 온스당 2000달러를 넘어섰다.

이런 가운데 전쟁은 확전 국면이다. 28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전날 가자지구에서 시작한 지상 군사작전으로 전쟁이 ‘두 번째 단계’에 들어섰다”며 “길고 어려운 전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네타냐후 총리가 침공을 선언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지상전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라고 풀이했다.

관련기사

이에 유가 급등에 따른 오일 쇼크 재현 가능성이 커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속속 나온다.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 이란이 트리거(방아쇠)가 될 경우 유가가 120~13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봤다. 이란이 하루에 석유 1700만 배럴이 운송되는 호르무즈해협을 봉쇄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는 유가가 배럴당 25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봤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최근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위기는 1973년(4차 중동 전쟁) 이후 50년 만에 다시 오일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계 상황에 이른 가자지구 주민들은 28일 구호품을 지원하는 유엔 센터에 난입해 물품을 마구잡이로 가져갔다. [AFP=연합뉴스]

한계 상황에 이른 가자지구 주민들은 28일 구호품을 지원하는 유엔 센터에 난입해 물품을 마구잡이로 가져갔다. [AFP=연합뉴스]

오일 쇼크가 현실화하면 세계 경제는 큰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유가가 10% 상승하면 1년 후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0.4%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봤다. 글로벌 국내총생산(GDP)은 0.15%포인트 하락한다는 추산이다. 여기에 전쟁은 미국의 재정 지출을 늘려 국채 금리 상승을 부채질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이는 글로벌 시장 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기업들의 차입 비용을 늘려 투자를 줄이고, 가계의 소비도 위축된다. 각국 정부도 코로나19 사태 동안에 재정 적자가 확대돼 기록적인 부채 규모를 가진 상황이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최근 월가 거물들도 미국과 세계 경제에 비관적인 전망을 쏟아냈다. ‘월가 황제’로 불리는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은 “재정 지출은 평시(平時) 기준 최고치로 많아졌고, 중앙은행과 정부가 모든 문제를 관리할 정도의 전지전능함을 가졌다고 느끼는 정서를 우려한다”고 지적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현재 경제 상황이) 나쁜 정책의 시대였던 70년대를 떠올리게 한다”며 “우리는 더 오래, 더 높은 금리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김주원 기자

미 Fed는 31일부터 이틀간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은 기준금리가 현 수준(연 5.25~5.5%)에서 동결될 것으로 보고, Fed가 내놓을 메시지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셈법은 복잡해졌다. 물가를 안정시키고 미국과의 금리 차를 줄이려면 금리 인상이라는 ‘정공법’을 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이미 나오고 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는 “한·미 금리 차에 따른 환율 상승이 금융시장에 잠재적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물가를 안정시키고 대출 확대를 제어하는 차원에서도 금리 인상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한은, 금리인상 땐 소비·투자 빨간불

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은행, 미국연방준비제도(Fed)]

한미 기준금리 추이 그래픽 이미지. [자료제공=한국은행, 미국연방준비제도(Fed)]

하지만 금리 인상에 따른 한국 경제의 부담도 만만치 않다. 소비·투자가 위축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부실 대출이 터질 수 있다는 점에서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오름세를 보이는 시장 금리가 실물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며 “중동 불안으로 국제유가가 요동치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우려도 커지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높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짚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