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드론폭탄·불도저에 뚫린 ‘철의 장벽’…“한국도 대비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지난 7일 이스라엘 남부 베에리 키부츠에 침입한 하마스 대원이 마을 주민들을 향해 총을 발사하는 장면이 CCTV에 잡혔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7일 이스라엘 남부 베에리 키부츠에 침입한 하마스 대원이 마을 주민들을 향해 총을 발사하는 장면이 CCTV에 잡혔다. [로이터=연합뉴스]

“11억 달러(약 1조5000억원)짜리 펜스는 (하마스) 침입 저지에 아무것도 못 했다.”

지난 10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일간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이 이스라엘과 가자지구 경계에 설치된 장벽 ‘아이언 월(iron wall)’에 대해 내린 평가다. 매체는 이스라엘이 장벽에 국경 방어를 의존하는 바람에 다수의 이스라엘 시민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에 목숨을 잃었다고 비판했다. 지난 7일 하마스 무장대원 2000여 명은 29곳의 경계 장벽을 뚫고 이스라엘에 침투해 이스라엘인 1000여 명을 살해했다.

이 장벽은 2014년 ‘50일 전쟁’ 당시 하마스의 땅굴 침투에 놀란 이스라엘 정부가 3년 반 동안 14만t의 철을 쏟아부어 2021년 12월 완공했다. 원격조종 카메라와 레이더 장치, 각종 센서와 원격 기관총 등 첨단 장비를 갖춰 ‘스마트 펜스’로 불린 이 장벽은 그러나 하마스의 불도저에 맥없이 부서졌다.

관련기사

가장 큰 문제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 국경 방비를 아이언 월에 지나치게 의존했다는 점이다. 아이언 월을 믿은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인근 병력 상당수를 빼 또 다른 팔레스타인 거주지인 서안지구 쪽으로 옮겼다. 이 틈을 타 하마스는 원격으로 조종한 드론 폭탄으로 스마트 펜스를 통제하는 감시탑을 파괴했다. 군사·통신망이 마비되면서 이스라엘이 자랑한 첨단 센서와 원격 기관총은 무용지물이 됐다. 하마스 대원들은 행글라이더·패러글라이더를 타고 자유롭게 장벽을 넘었다. 장벽에 폭탄을 설치해 구멍을 뚫고, 불도저로 장벽을 밀어낸 뒤 대형 트럭까지 이동시켰다.

박경민 기자

박경민 기자

통신망이 마비되고 병력도 적다 보니 이스라엘 지휘부는 장벽이 뚫린 사실을 바로 알지 못했다. 미 싱크탱크인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의 매튜 레빗 대테러국장은 워싱턴포스트(WP)에 “(이스라엘) 스마트 펜스의 가장 큰 장점은 원격 감시와 경고 체계인데 누가 접근하는지도 파악하지 못한다면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마이클 오핸런 브루킹스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핵심은 (하마스가) 몇 주 전부터 수많은 장비를 장벽 인근에 눈에 띄지 않게 배치할 수 있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마스가 이번 공격에 쓸 자금을 암호화폐로 마련한 정황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하마스를 비롯해 팔레스타인 이슬라믹 지하드(PIJ), 헤즈볼라 등 무장정파가 최근 1년 새 암호화폐 계좌를 통해 거액의 자금을 모금했다”며 “하마스 연계 계좌로 4100만 달러(약 550억원)어치 이상 암호화폐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스라엘의 아이언 월 붕괴는 유·무인 경계체계로 전방 철책을 스마트화하는 데 막대한 투자를 하는 한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휴전선에선 철책선에 설치된 감지기와 근거리 감시카메라를 통한 과학화 경계 체계로 경계가 이뤄진다. 국방부는 인공지능(AI) 기반 유·무인 복합체계로 휴전선 경계작전을 펼치는 방안을 국방혁신 4.0 기본계획에 담았다. 여기엔 AI와 드론, 로봇 등이 철책을 경계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군의 경계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의 스마트 철책 시스템 상당 부분은 이스라엘을 참조했는데, 반대로 하마스의 장벽 돌파 방식이야말로 전형적인 북한의 전술”이라며 “드론 등 현대화 무기를 신속히 도입하고,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군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