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가계 이자지출 2년간 52% 급증…소득대비 부담 역대 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금리 상승세가 이어진 지난 2년간 가계의 이자 지출이 50% 넘게 증가해 소득 대비 이자 부담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당분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가계·기업·정부의 부채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2분기에 가계가 이자 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13만1000원이다. 2021년 2분기 월평균 8만6000원에서 52% 증가한 것으로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많은 금액이다. 이는 전체 평균을 낸 값으로, 실제 대출이 있는 금융소비자의 이자 비용 부담이 상당히 커졌다는 것을 뜻한다.

관련기사

월평균 소득(479만3000원)에서 차지하는 이자 비중도 2.7%로 역대 최대다. 가계 소득은 작년 2분기 엔데믹 전환과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등으로 1년 전보다 12.7% 증가했다가 지난 2분기 기저효과 등으로 0.8% 감소한 반면, 이자 지출은 금리 인상 영향으로 계속 증가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도 눈에 띄게 빠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08.1%를 기록했다. 5년 전인 2017년(92.0%)보다는 16.2%포인트 증가했다. 민간부채(가계·기업)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중 증가 폭이 가장 크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가계부채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을 보면 표면적으론 기준금리 인상을 들 수 있다. 2021년 8월 0.75%에서 현재 3.5%까지 올랐다. 다만 전문가는 이면에 코로나19 시기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출을 끌어모아 집을 사는 ‘영끌족’이 늘어났던 부분이 크게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당시 주택담보대출이 대폭 늘었는데 금리가 높아지면서 대출에 대한 이자가 불어난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가계의 이자 비용이 늘어나면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 2분기를 예로 들면 가계의 소비지출은 2.7% 늘어나는 데 그쳐 2021년 1분기(1.6%) 이후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소비지출은 0.5% 감소하는 등 소비가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금리긴 하지만 아직도 자산을 키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동산을 사는 것이란 인식이 팽배하다. 정부가 주택가격을 떨어뜨린다는 확실한 신호를 주지 않으면 가계부채가 내려가진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부채와 정부부채도 가계부채 못지않게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2017년 147.0%에서 지난해 173.6%로 26.6%포인트 증가했다. 룩셈부르크(38.0%포인트)에 이어 두 번째 큰 증가 폭이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기반으로 금융업종을 제외한 기업들의 총부채를 분석한 결과도 비슷하다.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는 2021년 기준 113.7%를 기록하면서 외환위기 당시의 108.6%를 넘어섰다.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2017년 40.1%였지만 지난해 54.3%까지 올랐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코로나19 기간에 일단 기업을 살리고 보자는 취지로 빚을 늘렸는데, 이제는 부채 조정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