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학·지방 소멸 위기…교육부 “외국 유학생 2027년까지 30만명 유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정부가 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을 30만 명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저출산 고착,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험과 지역 대학의 위기를 유학생 유치로 극복하겠다는 취지다.

교육부는 16일 ‘유학생 교육경쟁력 제고 방안(스터디 코리아 300K 프로젝트)’을 발표했다. 지난해 약 16만7000명이던 외국인 유학생을 2027년까지 30만 명으로 늘려 유학생 점유율(2020년 13위)을 세계 10위권으로 끌어올린다는 게 골자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유학생의 입학 허들(요건)을 낮추기로 했다. 특히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혹은 ‘2급+입학 후 300시간 교육 이수’를 갖춘 신입생이 전체의 30% 이상이어야 한다는 현행 기준을 완화한다. 또 해외 한국교육원 내 ‘유학생 유치센터’를 설치해 현지 유학원이나 브로커가 아닌 국가기관이 직접 유학생을 유치할 계획이다. 유학생의 지역산업 체험 기회를 늘리는 등 학업 후 지역을 떠나지 않고 정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마련됐다.

관련기사

그동안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사활을 걸었던 많은 지방 대학에선 기대와 우려 섞인 반응이 나온다. 지방 대학 중에는 유학생 비율이 절반에 달하는 곳도 있다. 대학원생 중 외국인 비율이 50%가 넘는 곳도 15개교나 된다. 이 때문에 유학생의 양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질을 관리할 방안이 함께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어 능력 기준 완화에 대해 영남권 한 대학의 국제교류처장은 “우리는 TOPIK 4급을 충족한 학생을 뽑지만 면접 교수들은 ‘한국어도, 영어도 부족하다’며 절반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일정 수준의 기준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수도권 대학의 한 전직 총장은 “언어 소통이 안 되고 성적도 좋지 않은 유학생이 많아지면 내국인 학생에게는 ‘프리라이더’(무임승차자) 같은 존재로 인식된다”고 지적했다.

유학생들이 지역에 정주하도록 하려면 졸업 이후에도 치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경기도 한 대학의 국제처장은 “취업 이후 학생까지 관리하면서 정주하는 졸업생이 많아졌다. 졸업한 유학생이 취업 후에도 어려운 일이 있으면 학교에 도움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영남권의 한 대학 국제처장은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고 싶어도 돈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한 재정적·인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의 한 대학 국제교류부장은 “수도권과 지방 대학은 유학생 유치 목표가 다르다”며 “우리는 지역 취업과 정주보다는 인재 유치에 목표가 있다. 이를 각각 분리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