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쌍둥이면 200만원…'출산율 꼴찌' 서울 산후조리 경비 준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시가 산후조리 경비로 100만원을 준다. 쌍둥이 200만원, 세쌍둥이는 300만원이다. 서울시는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임산부 지원책을 발표했다.

이번 지원책은 지난달 8일 난임으로 고민하는 부부를 지원하기로 한 데 이어 시가 준비한 두 번째 저출생 대책이다. 지난해 서울 합계 출산율은 17개 시·도 가운데 꼴찌(0.59명)였다.

서울시 임산부 지원 계획. [자료 서울시 제공]

서울시 임산부 지원 계획. [자료 서울시 제공]

9월부터 시행…소득 기준 요건 없어

서울시 산후조리 경비는 오는 9월1일부터 준다. 서울시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한 출산 가정이 대상이다. 출산일 기준 60일 이내 신청할 수 있다. 소득 기준 등 요건은 없다. 지난해 서울 신생아 수를 고려하면 4만2000여 가구가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자치구별로 각기 다른 출산지원금을 더하면 지원 효과는 훨씬 커진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는 올해 첫째 아이 출산 시 200만원을 주는데 여기에 산후조리 지원금(100만원)을 더하면 300만원을 받는다. 여기에 출생아 가정에 200만원 상당 바우처를 지급하는 보건복지부 ‘첫 만남 이용권’도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산모가 가장 원하는 건 경비 지원”이라며 “출산 과정에서 겪는 정서적·육체적 피로 해소에도 도움을 줘야 한다”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보건복지부가 최근 산모 3127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75.6%가 산후조리 경비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산모들은 또 자택(16.9%)이나 친정(4.6%)보다 산후조리원(78.1%)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35세 이상 산모에 100만원 검사비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만 35세 이상 산모에게 산전 검사비로 1인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35세 이상 산모 비중은 2020년 33.8%, 2021년 35.0%, 2022년 35.7%(잠정치)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는 해당 나잇대 산모의 유산·조산이나 저체중·기형아 출산 가능성 등을 고려해서 태아 상태를 미리 알 수 있는 ‘니프티(Non-invasive prenatal tests, NIPT) 검사 비용도 지원한다.

또 둘째 임신·출산으로 인해 첫째 아이 돌봄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정부 ‘아이 돌봄 서비스’ 본인부담금을 50%~100% 지원하기로 했다. 아이 돌봄 서비스는 만 12세 이하 아동이 있는 맞벌이 가정에 돌보미가 찾아가는 서비스다. 서울시는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에 본인부담금 전액을, 150% 초과 가정엔 50% 지원한다. 예로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에서 7세 이하 아이 돌봄 서비스를 하면 본인부담금은 9418원 수준이다. 서울시는 이를 전액 지원한다. 지원 기간은 임신 판정일로부터 출산 후 90일까지, 총 5개월 간(다태아 6개월)이다.

아울러 임산부에 지원되는 70만원 상당 교통비 사용처도 기존 버스·지하철·택시에 더해 기차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가 서울의 모든 출산가정에 오는 9월부터 소득 기준 관계없이 산후조리비 100만원을 주기로 11일 발표했다. 사진은 출산을 앞둔 서울시 직원을 축하하는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서울시가 서울의 모든 출산가정에 오는 9월부터 소득 기준 관계없이 산후조리비 100만원을 주기로 11일 발표했다. 사진은 출산을 앞둔 서울시 직원을 축하하는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시 제공. 연합뉴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