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밸브 돌리기전 그의 말이 걸린다…조력자살 지켜본 작가의 소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폐암을 앓았던 60대 남성이 2021년 8월 26일, 스위스 바젤의 비영리 안락사 단체 ‘페가소스’ 도움을 받아 조력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조력자살이 시행된 건물 외관 모습. 사진 신아연

폐암을 앓았던 60대 남성이 2021년 8월 26일, 스위스 바젤의 비영리 안락사 단체 ‘페가소스’ 도움을 받아 조력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조력자살이 시행된 건물 외관 모습. 사진 신아연

그날의 기억은 두려움과 무력감, 죄의식이 버무려진 모호한 감정과 함께 소환된다. 눈앞에서 한 남자가 홀연히 목숨을 버렸고, 죽음의 침상을 둘러선 우리 일행은 허탈함에 망연자실했다. 스스로 주입한 약물이 곧바로 돌아 남자의 고개가 툭 떨어지자 어떻게든 그의 마음을 돌려보려던 동행들의 노력도 그것으로 그만이었다. 저렇게 가려고 이 먼 길을… 우리는 고인의 발치에 서서 한국식으로 큰절을 올린 후 고인만 남겨둔 채 방을 나왔다. 시신을 화장할 때 함께 태우기로 한 그의 검정 점퍼와 구두가 눈에 들어왔다. 비로소 눈물이 났다.

2021년 8월 26일 한국시간 오후 7시쯤, 폐암을 앓던 64세 한국 남성이 스위스 바젤의 비영리 안락사단체 ‘페가소스’에서 조력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페가소스는 2018년, 호주 최고령 과학자인 104세 데이비드 구달 박사가 스스로 삶을 마감한 곳이다.

수년 항암치료, 마약성 진통제도 안 들어

고인은 평소 자신의 인생을 ‘아무리 재미있어도 다시 읽고 싶지는 않은 책’이라고 비유했다. 60세가 지났으니 더 산댔자 지난 시간을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며, 비유대로 스스로 ‘생의 책장’을 덮었고, 편도 티켓을 쥔 그의 짧은 스위스 여정을 그렇게 마무리했다.

“두렵지는 않은데 어릴 때 달리기 출발선에 섰을 때처럼, 아니면 대중 앞에서 연설하기 전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네요. 어떤 면에서는 설레기도 하고요. 오늘 밤엔 잠들지 않으려고 해요. 생의 마지막 밤을 잠으로 보내고 싶진 않으니까요. 모든 순간을 깨어서 지켜보고 느껴보려고 해요. 지상의 모든 순간, 모든 마지막을.”

조력사하기 전날 밤, 이렇게 말했던 그는 지금 충남 공주의 한 수목원에 영원히 잠들어 있다.

조력자살이 시행된 바로 옆방의 모습. 거실 겸 사무공간인 이 방과 조력자살이 이뤄지는 작은 방이 연결된다. 사진 신아연

조력자살이 시행된 바로 옆방의 모습. 거실 겸 사무공간인 이 방과 조력자살이 이뤄지는 작은 방이 연결된다. 사진 신아연

내가 그를 만난 것은 글을 통해서였다. 내 글의 오랜 독자라고 했지만, 그전에는 얼굴 한 번 본 적 없던 사람이었다. 그럼에도 그 인연에 기대어 조력사를 결행하기 5개월 전, 스위스로 동행해 줄 수 있을지, 자신의 조력사 과정을 책으로 내줄 수 있을지 부탁을 겸해 타진해 왔다.

나는 고인의 1주기에 맞춰 『스위스 안락사 현장에 다녀왔습니다』란 제목으로 4박5일의 동행 체험기를 냄으로써 고인의 두 가지 부탁을 모두 들어드렸다. 그럼에도 돌아가신 분과 유족들에게 위로가 되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그곳을 다녀온 후 뜻하지 않게 조력사를 반대하는 입장이 됐기 때문이다.

“결국 자신의 죽음을 선택하게 될 수밖에 없는 순간이 올 수 있고, 그 선택은 그 누구도 강요하거나 아무도 막을 수 없습니다. 태어나는 것은 순서가 있지만 출구 전략은 각자 알아서 찾아야 합니다.”

관련기사

그는 이런 가치관을 가졌기에 조력사를 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태어남은 인간의 선택이 아니지만 죽음은 인간이 선택할 수 있다는. 그러나 동전의 양면처럼 삶이 우리의 결정이 아니었듯이 죽음도 우리 결정 밖의 일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무엇보다 조력사로 생을 마감하는 것은 유족들에게 적잖은 트라우마를 남긴다. 삶도, 죽음도 공동체를 떠나 존재할 수 없는,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는 방증처럼.

침상에 누운 그의 손등에 링거가 꽂혔다. 정작 아무 동요가 없는 본인과 달리 우리는 흠칫 놀랐다.

고인이 “조력사 과정 책 내달라” 연락

“아, 놀라지 마세요. 이건 그냥 식염수예요. 약물을 주입했을 때 문제가 없도록 미리 실행해 보는 겁니다. 이제부터 충분히 시간을 드릴 겁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을 모두 하고 작별 인사를 나눈 후 준비가 되면 저희를 부르세요.”

때는 점심시간이었다. “모두 수고 많았어. 와줘서 고맙고. 나 먼저 갈게. 나중에 묘지에도 꼭 한 번 와줘. 이제 그만 밖에 사람을 불러 줘. 내가 어서 가야 점심들을 먹지.” 마지막 순간까지 기가 막힌 배려였다. 누구 하나 나서지 못하다가 잠시 후 마지못해 그의 조카가 문밖으로 사인을 보내자 작은 카메라와 거치대를 들고 담당자가 나타났다. 그러고는 그를 향해 정면으로 카메라를 설치한 후 이내 카메라의 녹음 버튼을 누르더니, 자기의 말을 또렷하게 복창하라고 했다.

“I’m sick, I want to die. I will die(나는 아프고 죽길 원하며 죽을 것이다).” 그가 말을 따라 하자 녹화는 끝났고, 식염수 팩을 내린 자리에 약물 팩이 걸렸다.

“마음의 준비가 되면 밸브를 손수 돌리세요. 그러면 수 초 안에 편안히 잠드실 겁니다.” 설명이 채 끝나기도 전에 그가 밸브를 돌렸다. 순식간의 일이었다. 설명을 하던 담당자도 순간 놀랐고, 우리의 입에서도 짧은 탄식이 나왔다.

신아연 작가가 스위스에서 60대 남성의 조력자살을 동행한 뒤 지난해 펴낸 책『스위스 안락사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사진 신아연

신아연 작가가 스위스에서 60대 남성의 조력자살을 동행한 뒤 지난해 펴낸 책『스위스 안락사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사진 신아연

“아, 졸리다….” 그 말을 끝으로 5~8초 남짓한 사이에 고개가 옆으로 떨어졌고, 입가에는 희미하게 미소가 떠올랐다. 한 치의 망설임도 없이 스스로 밸브를 돌려 약물을 주입해 삶과 죽음의 경계를 찰나로 넘던 그 순간, 나는 그의 발이 식어갈 때까지 잡고 있었던 사실조차 의식하지 못했다.

※존엄사 논의의 다른 한 축은 ‘조력존엄사’ ‘안락사’라고도 불리는 조력자살이다. 신아연 작가의 글을 통해 조력자살의 한 단면을 살펴봤다. 조력자살은 한국 국회에 관련 법안이 계류중이긴 하나 매우 논쟁적인 주제다. 기고문에 등장하는 남성은 기대여명 2~3개월 판정을 받은 60대 말기 폐암 환자로 2021년 스위스에서 비영리 단체의 도움을 받아 조력자살했다. 마약성 진통제로도 고통을 견디기 힘들었다. 의사조력자살은 한국에선 불법이지만, 스위스에선 1930년대 이후 금지하지 않는다. 신 작가는 고인의 요청으로 그의 마지막 여행에 동행했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지켜본 신 작가의 기고문을 게재한다. 편집자 주 

☞신아연=이화여대 철학과를 나와 호주로 이민 간 뒤 호주한국일보, 호주동아일보 기자로 일했다. 2013년 한국으로 돌아와 칼럼과 소설을 쓰고 있다. 『좋아지지도 놓아지지도 않는』『강치의 바다』『사임당의 비밀편지』 등을 출간했다.

신아연 작가. 사진 신아연 작가

신아연 작가. 사진 신아연 작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