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월 80만원에 호텔식' MZ 몰린 고시원…위험한 진실 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프리미엄 고시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사진. 일반 고시원과 달리 넓은 공간과 화이트톤 인테리어, 방마다 딸린 화장실 등 '고급화'를 통한 차별화를 한 점이 특징이다. 투룸 크기에 가까운 방은 70~80만원 등 일반 고시원과 가격 차이가 크다. [홈페이지 캡처]

프리미엄 고시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사진. 일반 고시원과 달리 넓은 공간과 화이트톤 인테리어, 방마다 딸린 화장실 등 '고급화'를 통한 차별화를 한 점이 특징이다. 투룸 크기에 가까운 방은 70~80만원 등 일반 고시원과 가격 차이가 크다. [홈페이지 캡처]

네이버에서 '프리미엄 고시원'을 검색하면 화이트톤 인테리어를 한 방들이 검색된다. 보증금은 10~20만원 수준이고 월세는 45~80만원 사이에 형성 돼 있다.

네이버에서 '프리미엄 고시원'을 검색하면 화이트톤 인테리어를 한 방들이 검색된다. 보증금은 10~20만원 수준이고 월세는 45~80만원 사이에 형성 돼 있다.

최근 강남ㆍ신촌ㆍ을지로 등 직장과 학교 등이 몰려 있는 서울 도심에 이 같은 ‘프리미엄 고시원’들이 우후죽순 생기고 있다. 강남에서 프리미엄 고시원을 운영하는 A씨는 “1년 전 문을 열 때만 해도 ‘프리미엄’이란 말을 내세운 고시원이 많지 않았는데 어느새 주변에 많이 늘었다”며 “장사가 되니까 줄줄이 생기는 것 같다”고 했다.

실제 포털사이트나 부동산 카페 등을 보면 ‘프리미엄’이란 말을 내걸고 화사한 인테리어와 각종 편의시설, 서비스 등을 자랑하는 고시원 홍보 글이 다수 올라온다. 대부분 2년 이내에 리모델링을 마친 곳들이며,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청소ㆍ조식 등의 호텔 시스템을 홍보하는 곳도 있다. 월세가 과거 고시원 시세를 훌쩍 뛰어넘는 45~80만원 선이지만, 입주 대기 기간이 한 달을 넘어가는 곳도 많을 정도다.

강남에 위치한 프리미엄 고시원 외관. 엘리베이터 없는 건물의 낡은 고시원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화이트톤 인테리어가 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강남에 위치한 프리미엄 고시원 외관. 엘리베이터 없는 건물의 낡은 고시원으로 보이지만, 내부는 화이트톤 인테리어가 되어 있는 게 특징이다.

업계에선 공급과 수요가 동시에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사업자들의 경우 운영 방식은 원룸이나 오피스텔과 다를 바 없지만, 수익률은 훨씬 더 높다는 점을 노리고 고시원 사업에 뛰어든다. SNS 등을 통해 고시원 창업을 광고하는 한 업체는 “원룸 2배에 가까운 수익률”을 강조하며 “다가구 원룸의 경우 30평 면적에 최대 방 4개가 전부겠지만, 고시원의 경우 방을 8개까지도 만들 수 있다. 보증금이 없이 월세를 높게 받는 시스템이라 수익률 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수요는 취업ㆍ이직 등으로 이사가 잦거나, 목돈 대출이 어려워 차라리 비싼 월세를 선택하는 20~30대가 이끌고 있다. 특히 서울의 경우 프리미엄이란 말이 붙어도 주변 원룸과 비교하면 월세는 비슷하거나 낮고, 보증금이나 긴 계약 기간이 없다는 점 때문에 고시원을 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달 초 서울 마포구의 고시원에 입주한 하모(24)씨는 “월세 46만원에 보증금은 10만원인데 관리비도 따로 없고 각종 OTT 서비스 이용은 무료, 밥과 양념류도 무료다. 개별 냉장고와 화장실도 있어 원룸과 비교해 아쉬울 게 별로 없다”고 말했다.

지난 2021년 서울 중구 명동 인근 고시원을 인수한 B씨도 “지금 손님 절반이 직장인, 나머지 절반은 대학생”이라며 “이런 거주자들은 아무리 싸도 깨끗하지 않으면 입주하지 않기 때문에 인테리어에 신경을 많이 썼다. 초기 인테리어와 시설 정비에만 4억원 가까이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A씨 역시 “월세가 조금 비싸도 보증금이 거의 없고 컨디션도 괜찮은 방을 찾는 20~30대가 생각보다 많다”고 말했다. 중장년층도 많은 기존 고시원과 달리, 프리미엄 고시원 입주 대기자는 대부분 20~30대다. 취약계층이 어쩔 수 없이 선택하는 ‘최후의 주거지’를 넘어 기존 주택을 위협하는 1인 주거의 한 형태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서울의 한 프리미엄 고시원 내부 사진. 공용 세탁실과 부엌 등 취사 시설이 구비 돼 있다.

서울의 한 프리미엄 고시원 내부 사진. 공용 세탁실과 부엌 등 취사 시설이 구비 돼 있다.

 서울의 한 프리미엄 고시원 내부 사진. 공용 세탁실과 부엌 등 취사 시설이 구비돼 있다.

서울의 한 프리미엄 고시원 내부 사진. 공용 세탁실과 부엌 등 취사 시설이 구비돼 있다.

하지만 이처럼 주거 시장의 경계선에서 성장 중인 프리미엄 고시원을 보는 기존 업계의 시선은 곱지 않다. 법의 빈틈을 파고드는 ‘꼼수 업체’들 때문이다. 한국고시원협회 황규석 회장은 “고시원은 건축법상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기 때문에 취사 시설 설치가 제한적인데 프리미엄 고시원들은 이런 규정을 어기는 곳도 많다”며 “주기적으로 구청에 민원을 넣지만, 과태료만 부과하고 끝이라 실효성이 없다. 프리미엄 고시원은 협회 회원으로 받지도 않고 있다”고 말했다.

더 큰 문제는 안전이다. 원룸 등 주택보다 상대적으로 화재ㆍ재난 등에 있어 취약한 것은 기존 고시원과 똑같기 때문에, 고시원이 늘어나는 걸 반길 일은 아니라는 우려가 나온다. 고시원도 현행법에 따라 소화기와 간이스프링클러 등을 갖추고 주기적으로 소방 점검을 받지만, 공간 특성상 화재 빈도도 높고 대피도 어렵다. 소방청 화재예방총괄과 정재홍 예방안전계장은 “프리미엄 고시원이라도 내부가 좁고 다수가 상시 거주하는 건 마찬가지라 집중 관리 대상”이라고 말했다.

전입신고 없이 거주하는 단기 이용자도 많아 범죄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주거문화개선연구소 차상곤 소장은 “신원을 알 수 없는 여러 사람이 같이 살다 보니 각종 범죄에 노출되기도 상대적으로 쉬워 위험한 주거환경으로 보인다”며 “청년들 사이에서 고시원이 보편적인 주거 형태가 된 상황에 대해 정부에서 모른척하기보다 적극적인 주거 환경 개선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