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신도림역 인근 도림보도육교가 붕괴돼 통제되고 있다. 뉴시스
‘32억원.’
지난 1월 3일 엿가락처럼 휜 서울 영등포 도림보도육교 건설과 앞으로 부수는데 들어갈 총비용이다. 영등포구 한 해 세입(稅入) 2985억원의 ‘1.1%’에 해당하는 절대 적지 않은 예산이다. 2016년 7월 개통한 지 7년도 안 돼 이렇게 많은 세금을 날리게 됐다.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아직 정확한 붕괴 원인이 밝혀지진 않았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보행교로써 일반적이지 않은 ‘디자인’에 주목하고 있다. 도림보도육교는 길이 104.6m, 폭 2.5m로 도림천 위를 가로질러 설치됐다. 철강재를 삼각형으로 엮은 트러스 구조로 아치 형태다.
이 육교는 중간에 교각이 없다. 이 때문에 양 끝쪽 교량 받침이 상부 구조물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결국 육교 전체가 견딜 수 없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교량 받침은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중요 부품이다. 또 육교 등 다리 구조물은 기온이 떨어지면 수축하게 된다. 받침이 이런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이완을 하는 등 제기능을 했는지도 의문이다.
조성일 르네방재정책연구원장은 “새롭고 익숙하지 않은 설계나 재료·시공법 등에서 사고가 잘 발생한다”며 “교각을 없앤 트러스 아치 형태 구조물에 맞게 점검하고 관리해야 했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육교 등 구조물이 기온이 떨어졌을 때 수축 등에 따라 안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이때 지자체는 점검하거나 통행을 제한하는 등 대응 매뉴얼을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3일 서울 영등포구 도림동과 신도림역을 잇는 도림보도육교(폭 2.5m, 길이 104.6m) 가 내려앉아 통행이 금지됐다. 뉴스1
하지만 도림보도육교는 이런 대응 움직임이 없었던 것 같다. 교량 받침 이상 징후가 여러 차례 나타났지만, 점검은 제대로 하지 않았다. 전승관 영등포구의원(사회건설부위원장)이 확보한 영등포구 ‘2022년 하반기 3종 도로시설물 등 정기안전점검 용역 종합보고서’를 보면 (교량 받침 확인 결과) 겨울철에 수축 현상으로 구조물이 움직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나와 있다. 그런데도 도림육교는 안전등급 A등급을 받았다.
급기야 시민이 나섰지만 소용없었다. 지난해 12월31일과 올 1월2일 행정안전부 안전신문고에 ‘육교 외형에 변형이 있다. 안전이 우려된다’는 취지의 신고가 2차례 접수됐다. 이에 ‘눈’으로 확인하는 데 그쳤고 하루 뒤 육교는 엿가락처럼 휘어 못쓰게 됐다.
서울시는 뒤늦게 도림보도육교 처럼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구조물을 점검하기로 했다. 그동안 많이 봐 왔던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방식이다. 이런 식의 대응으로 낭비된 세금은 천문학적이다. 이런 악습을 끊어내려면 담당 공무원 등 공사 책임자에게 낭비된 세금을 물어내게 하는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