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위험 낮아 안정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펀드에 가입하는 사람들이 크게 늘었다. 몇해전만해도 일부 투자자 사이에서나 관심 대상이었던 펀드가 이제는 흔하고 보편적인 간접 투자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펀드의 확산이 가속되면서 펀드 상품의 종류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내용도 가지가지인 펀드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중 채권형 펀드는 어떤 펀드인지 살펴보자.

채권형 펀드는 펀드재산의 60%이상을 국공채, 회사채 등과 같은 채권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발행 시점부터 만기 시점까지 약정 이자를 지급하는 채권의 속성상 여타의 다른 금융자산, 특히 주식에 비하여 기대 수익은 낮지만 투자 위험도 현저히 낮은 경우가 일반적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따라서 금융 자산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저축자나 또는 목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상품으로 꼽히고 있다.

채권형 펀드는 투자 대상의 신용 등급에 따라 국공채 펀드, 회사채 펀드, 하이일드 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국공채 펀드는 채권의 부도 등 신용 위험이 거의 없는 국채 및 공채에 주로 투자하여 기대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투자의 안정성이 가장 높은 펀드다. 회사채 펀드는 우량 기업이 발행하여 국공채에 비하여 신용도는 다소 낮지만 대신 투자 수익률이 높은 회사채에 주로 투자한다. 하이일드 펀드는 국공채나 회사채에 비하여 신용등급은 훨씬 낮지만 투자 위험에 상응하는 고금리를 지급하는 저신용 등급 채권에 선별적으로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펀드다.

채권형 펀드는 투자 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눌 수 있다. 투자 기간은 펀드의 중도 환매시 부과되는 환매 수수료 기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나 펀드에서 보유하는 채권에 대한 평가가 시가 평가로 변경됨에 따라 환매수수료에 의한 펀드의 분류보다는 펀드에서 보유하고 있는 채권의 평균만기 즉 듀레이션에 따라서 펀드를 분류하는 것이 더 적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펀드의 듀레이션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단기, 1년미만은 중기, 1년이상은 장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인스닷컴 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