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하반기에 집값 더 내려갈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경기침체와 금리 인상 우려로 ‘집값 하락’ 전망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10명 중 6명이 올해 하반기에 집값이 더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11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이용자 1727명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거주지역 집값 전망’을 설문 조사한 결과, 61.9%가 하락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말 조사에서 43.4%가 올해 집값 하락을 전망했던 것과 비교하면, 6개월 만에 하락 예상 비율이 약 18%포인트 상승했다.

서울(63.2%), 경기(63.7%), 인천(61.0%) 등 수도권에서 하락을 전망하는 답변이 60%를 넘었다. 5대 광역시(59.5%)와 지방(58.0%)도 60%에 육박했다. 집값 하락을 예상하는 이유로는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를 꼽는 응답자(63.9%)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가격 고점 인식에 따른 수요 감소(15%), 물가 상승 부담과 경기 둔화(12.1%),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한시 완화에 따른 매물 증가(4.7%) 등의 순이었다.

실제로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물은 11일 기준으로 지난 1년 새 26만446건에서 42만9501건으로 65%가량 늘었다. 광주(379%)·인천(114.5%)·대전(98.3%)·경기(82.7%) 순으로 매물이 급증했다. 서울도 1년 전과 비교해 매물이 4만3179건에서 6만3243건으로 46%가량 증가했다.

하지만 매수 심리는 움츠러들어 거래는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7월 첫째 주(4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6.8을 기록해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5월 9일부터 9주 연속 하락세다. 매매수급지수는 기준선이 100 밑으로 떨어지면 집을 팔 사람이 살 사람보다 많다는 의미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 하반기 집값은 추가 금리 인상, 물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