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온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7면

가을이 깊어 가면 어머니의 따뜻한 품 같은 온돌방이 그리워진다.
유럽인들은 벽난로 앞에서, 일본인들은 이로리(위노리)를 둘러싸고 정담을 나누지만 한국인들은 온돌방 아랫목에 둘러앉아 옛날「이야기 책」을 목청 돋우어 읽으며 긴긴 겨울밤을 정담으로 지새운다.
한국의 온돌방을 구비문학의 전승장소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개방적인 남방요소와 폐쇄적인 북방요소의 중간지점에서 이뤄진 구들방식은 우리민족 고유의 독특한 난방기법이다.
최근 중국을 다녀온 건축사학자 황의수씨에 따르면 우리 동포들의 집단거주지인 중국 길림성에는「캉」이라고 불리는 구들이 지금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그들은 불을 때는 아궁이와 불길이 확산되는 통로인 방고래, 그리고 연기를 배출하는 굴뚝 등 3요소로 구성되며 이같은 방식으로 축조된 방을 온돌방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구들은 방바닥을 골고루 따뜻하게 해 줌은 물론 화재에도 안전한 이상적인 채난법이기도 하다.
널찍한 돌로 구들장을 놓을 때는 아랫목 부분을 낮게 하고 윗목으로 갈수록 높게 설치한다.
그러나 최종 마무리 단계에서 흙을 바를 때는 이와 반대의 높이로 바름으로써 방바닥 전체가 수평을 이루도록 해 이른바 한옥의 정형을 잡는다.
우리나라에 구들이 설치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삼국시대이후부터로 추정된다. 중국문헌에 보면 고구려에는 구들이, 백제에는 다락이 있어 북방식과 남방식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전역에 구들이 보급된 것은 고려말이나 조선조 초기쯤일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온돌방은 윗목과 아랫목의 구별이 엄격하다. 방안 어느 쪽에 좌정해 있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신분이나 서열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한국인 특유의 강한 서열의식도 바로 이같은 온돌문학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도 억지는 아닐 것이다.
구들장에 사용되는 돌은 열전도율에 있어서 금속보다 훨씬 느리다. 그리나 한번 달궈지고 나면 그 열기는 오래도록 지속된다. 그 뜨거운 열기로 우리 조상들은 가벼운 몸살쯤은 거뜬히 이겨내기도 했다.
한번 달궈지면 오래 가는 구들장의 속성이 한국인 특유의 포근한 신명과 저력을 길러준 원동력일지도 모른다. <글 김준범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