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5년 후 한국 핵심 노동인구 비중, OECD 국가 중 최하위"

중앙일보

입력

한국과 OECD 국가의 핵심 노동인구 비율(전체 인구 대비).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국과 OECD 국가의 핵심 노동인구 비율(전체 인구 대비).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저출산·고령화의 영향으로 25년 뒤 한국의 핵심 노동인구(25∼54세)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3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OECD 통계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핵심 노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5.3%로 OECD 38개국 중 두 번째로 높다.

하지만 2047년이면 한국의 핵심 노동인구 비중은 31.3%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다. 2060년엔 26.9%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OECD 국가 중 20%대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 유일한 국가다.

핵심 노동인구는 노동 공급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가장 높은 연령대로, 국제노동기구(ILO)는 25∼54세로 정의한다. 한경연은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0.81명)이 최저 수준을 기록한 만큼 감소세가 가팔라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핵심 노동인구의 고용률 역시 낮은 편이었다. 한국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은 75.2%로, OECD 36개국(영국, 터키 제외) 중 29위에 머물렀다.한경연은 첫 직장을 얻는 '입직' 연령이 높은 우리나라의 교육·노동환경과 저조한 여성 고용률을 이러한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핵심 노동인구의 고용율.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핵심 노동인구의 고용율.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경연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졸 청년의 고용률(63.5%)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32위)을 나타냈다. 졸업 후 첫 직장을 갖는 데 걸리는 '입직 소요 기간'은 평균 35개월로 대졸자(11개월)에 비해 3배 길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핵심 노동인구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과 노동시장의 연계성을 높여 첫 취업 연령대를 낮추고, 시간제 근로제와 일·가정 양립 정책을 확대해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를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